한성우 연구실
의예의학과 한성우
한성우 연구실은 순환기내과를 중심으로 심부전, 심근경색, 심방세동 등 다양한 심혈관 질환의 진단, 치료, 그리고 예후 예측에 관한 임상 및 중개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국인 환자에 특화된 진단 기준과 치료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용적 전략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심부전 환자의 임상 양상, 예후 인자, 그리고 치료 반응에 대한 심층 분석을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베타차단제, 스피로놀락톤 등 다양한 약물의 효과와 안전성, 심장 재활 프로그램의 도입 현황 및 장애 요인, 그리고 심부전 환자의 의료비 부담과 관련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심부전 환자의 장기 생존율 향상과 재입원률 감소, 그리고 의료비 절감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심혈관 질환과 대사질환(당뇨병, 비만, 대사증후군 등)의 상호작용, 성별에 따른 임상 경과 및 예후 차이, 암 치료 후 심혈관계 합병증 예측 등 다학제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대규모 국가 코호트 및 다기관 연구를 통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별 위험도 평가와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여성 환자에서의 특이적 위험 요인 분석, 대사질환이 심혈관 질환에 미치는 영향 등 세밀한 연구를 통해 환자 중심의 진료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심장 초음파, 조직 도플러 영상, 운동부하 검사 등 다양한 첨단 진단기법을 활용하여 심혈관 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심부전 환자에서의 염증성 사이토카인, 노화 T세포 등 면역학적 기전 연구도 병행하여 심혈관 질환의 새로운 치료 표적을 탐색하고 있습니다.
향후 한성우 연구실은 심혈관 질환의 예방, 조기 진단, 위험도 평가, 그리고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통해 국내 심혈관 질환 관리의 질적 향상과 환자 삶의 질 개선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임상과 기초, 다학제적 협력을 통한 융합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심부전의 진단과 치료 전략
심부전은 국내외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심혈관 질환 중 하나로, 고령화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심부전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다양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특히 한국인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진단 및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전국 다기관 코호트 연구와 심부전 환자 레지스트리 분석을 통해 심부전의 임상 양상, 예후 인자, 그리고 치료 반응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심부전 환자의 예후를 개선하기 위한 약물 치료, 심장 재활, 그리고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베타차단제(비스프로롤)와 같은 약물의 용량 조절이 심장 구조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스피로놀락톤과 같은 약물의 신기능 저하 환자에서의 임상적 유용성 평가 등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심부전 환자에서의 심장 재활 프로그램 도입 현황과 장애 요인, 그리고 환자 맞춤형 재활 전략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심부전 환자의 장기 생존율 향상과 재입원률 감소, 그리고 의료비 절감에 기여하고자 하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실용적 가이드라인과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심부전의 조기 진단, 위험도 평가, 그리고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통해 국내 심부전 관리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예정입니다.
심혈관 질환과 대사질환의 상호작용 및 성별 차이 연구
본 연구실은 심혈관 질환과 대사질환(예: 당뇨병, 비만, 대사증후군)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심부전 및 심근경색 환자에서 대사질환이 임상 경과와 예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별적 위험 요인 및 치료 반응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국가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사증후군이 심방세동 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복합 치료(항암치료, 방사선치료 등) 후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 예측 모델 개발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여성 환자에서 비만이 운동능력 저하와 이완기 기능 장애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이 심부전 환자에서 장기 예후에 미치는 성별 차이 등 세밀한 분석을 통해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암 치료 후 심혈관계 부작용 예측을 위한 위험 점수 모델 개발 등 다학제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 조기 개입, 그리고 환자별 위험도에 따른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향후에는 대사질환과 심혈관 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기전 연구와 더불어, 실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예측 도구와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을 통해 환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치료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심혈관 질환의 예방, 조기 진단, 그리고 예후 개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자 합니다.
1
Current status of cardiac rehabilitation among representative hospitals treat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South Korea
한성우
PLOS ONE, 2021
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risk score model for predicting the cardiovascular outcomes after breast cancer therapy: The chemo-radiat score
한성우
Journal of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21
3
Prognostic Value of Leg Muscle Strength in Acute Heart Failure Syndrome
한성우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