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강민규 연구실

충북대학교 임상의학전공(의대)

강민규 교수

강민규 연구실

임상의학전공(의대) 강민규

강민규 연구실은 의학과 내에서 약물 부작용, 약물 안전성, 그리고 알레르기 질환을 중심으로 한 임상 및 빅데이터 기반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전자의무기록과 공통데이터모델 등 첨단 의료정보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약물 부작용 사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약물 안전성 평가 및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및 데이터사이언스 기술을 접목한 약물 부작용 탐지 알고리즘과 임상 의사결정지원시스템(CDSS)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다기관 대규모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통해 국내외적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환자 개인의 유전적, 임상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부작용 예측 모델을 구축하여, 실제 임상에서 환자 안전을 극대화하고, 약물 치료의 효과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알레르기 질환 및 천식, 만성 기침 등 호흡기 질환의 임상 및 역학 연구도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입니다.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위험 요인, 임상적 특성, 지역별 감작 패턴 등을 분석하고, 혈액 전사체 분석 등 첨단 오믹스 기술을 활용하여 새로운 바이오마커와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알레르기 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와 연구과제를 통해 약물 부작용의 개인화된 확률 산정, 약물-부작용 인과관계 평가, 환자 맞춤형 약물 제공 시스템 등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학술대회 및 저명 학술지에 활발히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의료정보학, 약물역학, 임상알레르기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강민규 연구실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오믹스 등 첨단 융합기술을 기반으로 환자 안전과 맞춤형 의료 실현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미래 의료 혁신에 기여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약물 부작용 및 약물 안전성 연구
강민규 연구실은 약물 부작용의 탐지와 예방, 그리고 약물 안전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자의무기록(EHR)과 공통데이터모델(CDM)을 활용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약물 부작용 사례를 체계적으로 수집·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약물의 부작용 위험도를 평가하는 알고리즘과 도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기관 데이터를 연계하여 대규모 환자 집단에서의 약물 부작용 발생률과 위험 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임상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약물 부작용의 조기 탐지와 인과관계 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 프레임워크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MetaLAB-HOI와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다양한 임상 변수와 환자 특성, 약물 노출 시기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부작용 신호를 탐지하고, 이를 실제 임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템플릿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맞춤형 약물 처방과 부작용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국내외 다수의 논문과 특허로 그 성과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환자 개인의 유전적, 임상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약물 부작용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별 부작용 발생 확률을 산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에서 환자 안전을 극대화하고, 약물 치료의 효과와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약물 안전성 분야의 혁신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알레르기 질환 및 천식의 임상·역학 연구
본 연구실은 알레르기 질환, 특히 천식과 약물 알레르기, 그리고 만성 기침 등 호흡기 관련 질환의 임상 및 역학 연구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활용하여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 위험 요인, 임상적 특성 등을 분석하고, 지역별·연령별 민감성 차이,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질환 발생과 악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성인 및 소아에서의 알레르기 질환 관리와 예방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천식 환자의 혈액 전사체 분석을 통해 임상 및 면역학적 페노타입을 구분하고, 새로운 바이오마커 및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흡입 알레르겐에 대한 감작 패턴과 지역적 변이를 분석하여, 맞춤형 진단 패널을 제시하고, 실제 임상 진료에 적용 가능한 진단 및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알레르기 질환의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 전략 수립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만성 기침과 같은 호흡기 증상의 역학적 특성, 진단 기준의 표준화, 그리고 치료 순응도와 임상 경과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며, 알레르기 및 호흡기 질환 분야에서 국내를 대표하는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1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and the Risk of Suspected Drug-Induced Liver Injury: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Using Electronic Health Record-Based Common Data Model in South Korea
강민규, Kim Hyunjoo, Son Nayeong, Jeong Dahee, Yoo Myungsik, Choi In Young, Choi Wona, Chung Yeon Woong, Ko Sung Woo, Byun Seonjeong, Im Sun, Sim Da Woon, Seo Jewon, Lee Jun Kyu, Seo Young-Gyun, An Hye-Ji, Kim Yeesuk, Chae Sungeu, Jun Dae Won, Chang Dong-Jin, Kim Seong Geun, Yi Siyeon, Yang Hyeon-Jong, Lee Inho, Park Hye Jung, Lee Jae-Hyun, Kim Bonggi, Lee Eunkyung Euni
DRUG SAFETY, 202407
2
MetaLAB-HOI: Template standardization of health outcomes enable massive and accurate detec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from electronic health records
강민규, 이수현, 신현아, 최선, 김새훈, 김주한, 강동윤
PHARMACOEPIDEMIOLOGY AND DRUG SAFETY, 202401
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ctive Pharmacovigilance Framework Based on Electronic Healthcare Records from Multiple Centers in Korea
강민규, Choe Seon, Lee Suhyun, Park Chan Hee, Lee Jeong Hoon, Kim Hyo Jung, Byeon Sun-ju, Choi Jeong-Hee, Yang Hyeon-Jong, Sim Da Woon, Cho Bum-Joo, Koo Hoseok, Jeong Ji Bong, Choi In Young, Kim Sae-Hoon, Kim Woo Jin, Jung Jae-Woo, Lhee Sang-Hoon, Ko Young-Jin, Park Hye-Kyung, Kang Dong Yoon, Kim Ju Han
DRUG SAFETY, 202307
1
의약품 안심복용을 위한 마이데이터 기반 CDSS 개발 및 실증 - 다약제, 약물 알레르기 예방 중심으로(3-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4년 ~ 2024년 12월
2
의약품 안심복용을 위한 마이데이터 기반 CDSS 개발 및 실증 - 다약제, 약물 알레르기 예방 중심으로(1/3)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3년 04월 ~ 2023년 12월
3
(3차년도)웰케어 산업 특화 인공지능 기술 지원 플랫폼 구축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3년 ~ 202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