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연 연구실
의약생명과학과 김주연
김주연 연구실은 일본어 교육, 특히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를 위한 음성 교육과 어휘, 감정 표현 교육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일본어의 악센트, 인토네이션, 포즈와 같은 음성적 특성이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과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수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실험과 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음성적 특징의 변화를 조사하고, 학습자 맞춤형 음성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어 어휘 교육과 감정 표현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일본어의 단어 가족 개념을 활용한 어휘 학습법, 감정 관련어와 관용구, 부사, 문말조사 등의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일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일본어와 한국어의 대조 연구를 통해 언어 간 차이와 유사점을 밝혀내고, 학습자의 오류를 줄이고 학습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학습자의 학습 전략, 동기, 신념이 음성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분석하여, 자기평가형 학습전략의 효과성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찰합니다. 이를 통해 일본어 음성 교육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방안을 동시에 모색하며, 학습자의 발화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감정 표현과 어휘 교육 연구에서는 일본어의 다양한 감정 관련어와 부사, 관용구, 문말조사가 실제 의사소통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일본어의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김주연 연구실은 일본어 교육의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교수법과 학습 자료를 개발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일본어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일본어 교육의 질적 향상과 학습자의 언어 능력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
Hepatocellular Carcinoma
ER Stress
일본어 학습자의 음성 교육 및 발화 전략 연구
본 연구실은 일본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음성 교육과 발화 전략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본어의 악센트, 인토네이션, 포즈(pause)와 같은 음성적 특성이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교수법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실험과 평가를 통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음성적 특징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학습자 맞춤형 음성 지도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급에서 고급으로 갈수록 학습자들은 일본어 모어화자와 유사한 발화 전략을 구사하게 되며, 포즈의 사용이나 악센트 학습에서 점진적인 향상을 보입니다. 또한, 포즈 지도와 같은 구체적인 교수법이 중상급 학습자의 말하기 유창성 평가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학습자의 언어 습득 과정에서 음성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와 더불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동기, 신념이 음성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분석하여, 자기평가형 학습전략의 효과성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찰합니다. 이를 통해 일본어 음성 교육의 이론적 토대와 실천적 방안을 동시에 모색하며, 학습자의 발화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일본어 어휘 및 감정 표현 교육 연구
본 연구실은 일본어 어휘 교육과 감정 표현의 언어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일본어 학습자들이 효과적으로 어휘를 습득하고, 다양한 감정 관련어 및 관용구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교수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단어 가족(word family) 개념을 활용한 어휘 학습법, 일본어 부사와 조사의 의미 및 기능 분석, 그리고 감정 표현의 다양한 양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에서는 일본어의 감정 관련어(기쁨, 슬픔, 사랑, 미움 등)와 부사(どうぞ, たぶん 등), 문말조사(ね, よ 등)가 실제 의사소통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그리고 이들이 학습자의 언어 습득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일본어의 문화적, 사회적 맥락을 이해하고,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일본어와 한국어의 대조 연구를 통해 언어 간 차이와 유사점을 밝혀내어, 학습자의 오류를 줄이고 학습 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어휘와 감정 표현의 교육적 접근법을 다각도로 모색함으로써, 일본어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활용 가능한 자료와 교수법을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학습자들이 일본어를 보다 깊이 이해하고, 풍부한 표현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1
日本語の副詞‘どうぞ’に関する考察”(韓国語の副詞‘어서’(オソ)との対照的な観点で)
김주연
일본학연구, 200811
2
日本語 母語話者와 韓國人 日本語 學習者의 拒絶 話行-拒絶 戰略과 포즈(pause)의 使用 樣相을 中心으로-
김주연
일어일문학, 202211
3
일본어 숙달도별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음성적인 특징 -포즈 지도를 중심으로-
김주연
일어일문학, 202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