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승범 연구실

서울대학교 화학부

박승범 교수

Heterocyclic Compounds

Fluorescent Dyes

Neuroinflammation

박승범 연구실

화학부 박승범

박승범 연구실은 생유기화학을 중심으로 한 화학생물학 및 신약 개발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생체 내 다양한 분자 표적(단백질, RNA, 지질 등)과 이들의 상호작용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저분자 화합물의 설계, 합성, 그리고 생물학적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암, 신경퇴행성 질환, 감염병, 대사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PPI) 및 단백질-RNA 상호작용 조절, 효소 활성 조절, 그리고 신호전달 경로의 화학적 탐색 등입니다. 이를 위해 컴퓨터 기반 분자 설계, 구조 기반 약물 설계, 그리고 분자다양성 합성 전략(DOS)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존의 약물화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아직 탐구되지 않은 생체 내 표적을 겨냥한 혁신적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다중 표적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세포 내 분자 및 생체현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첨단 바이오프로브(형광 프로브, 바이오이미징 도구 등)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프로브는 고속·고효율의 하이컨텐츠 스크리닝 시스템과 연계되어,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 및 작용기전을 신속하게 규명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연구실에서 개발한 다양한 형광 프로브와 화합물은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질환 모델에서 그 효용성이 검증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등 신종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항바이러스제, 신경염증 조절제, 암 면역치료제 등 혁신적인 신약 후보물질을 다수 개발하였으며, 이들 성과는 국내외 특허와 저명 학술지 논문, 그리고 다수의 산학협력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표적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저분자 화합물을 설계하여 실제 질환 치료에 적용 가능한 신약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박승범 연구실은 화학,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합연구를 통해, 미래 생명과학 및 의약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분자다양성 기반 신약 개발, 첨단 바이오프로브 개발, 그리고 혁신적 화학생물학 연구를 지속적으로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Heterocyclic Compounds
Fluorescent Dyes
Neuroinflammation
생유기화학 기반 신약 개발 및 화학생물학
박승범 연구실은 생유기화학을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과 화학생물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생체 내 표적 단백질과 그 상호작용을 조절할 수 있는 저분자 화합물의 설계 및 합성에 탁월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PPI), 단백질-RNA 상호작용, 그리고 효소 활성 조절 등 생명현상의 핵심 분자 메커니즘을 화학적으로 탐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표적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저분자 화합물을 설계합니다. 이 과정에서 컴퓨터 기반 분자 설계, 구조 기반 약물 설계, 그리고 다양한 합성 화학 기법이 활용됩니다. 또한, 합성된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세포 기반 및 동물 모델 실험을 병행하여, 실제 질환 치료에 적용 가능한 신약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신경퇴행성 질환, 감염병 등 다양한 질환의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코로나19 등 신종 바이러스에 대응하는 항바이러스제, 신경염증 조절제, 암 면역치료제 등 혁신적인 신약 후보물질을 다수 개발하였으며, 이들 성과는 국내외 특허와 저명 학술지 논문, 그리고 다수의 산학협력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분자다양성 및 다중 표적 탐색을 위한 화학 라이브러리 구축과 바이오프로브 개발
본 연구실은 분자다양성(Diversity-Oriented Synthesis, DOS) 전략을 활용하여, 생물학적 활성이 풍부한 신규 화합물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는 기존의 약물화학적 한계를 극복하고, 아직 탐구되지 않은 생체 내 표적 단백질 및 복잡한 생명현상에 대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적·기능적 특성을 지닌 저분자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일 표적뿐만 아니라 다중 표적 단백질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혁신적 치료제 개발이 가능해집니다. 연구실은 또한, 세포 내 분자 및 생체현상을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다양한 바이오프로브(형광 프로브, 바이오이미징 도구 등)를 개발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세포 내 지질방울, 단백질, 핵산, 당 등의 동적 변화를 고해상도로 추적할 수 있는 형광 프로브를 자체적으로 설계·합성하여, 질병의 병태생리 연구 및 신약 스크리닝에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바이오프로브는 고속·고효율의 하이컨텐츠 스크리닝(High-Content Screening, HCS) 시스템과 연계되어,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 및 작용기전을 신속하게 규명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분자다양성 기반 화합물 라이브러리와 첨단 바이오프로브 개발 역량은, 신약 개발뿐만 아니라 화학생물학, 시스템생물학, 단백질체학 등 다양한 융합연구 분야에서 핵심적인 연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연구실에서 개발한 여러 바이오프로브와 화합물은 국내외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질환 모델에서 그 효용성이 검증되고 있습니다.
1
Broad-Spectrum Antiviral Agents against SARS-CoV-2 Variants Inhibit the Conserved Viral Protein Nsp1-RNA Interaction
Kim Seungtaek, Lee Minha, Ko Meehyun, Lee Ji Hyae, Yi Sihyeong, Lee Jinah, Byun Wan Gi, 박승범
ANGEWANDTE CHEMIE-INTERNATIONAL EDITION, 2024
2
Development of a molecular glue-based Lin28 degrader to regulate cellular proliferation and stemness
박승범, Lee Minha, Byun Wan Gi, Son Sumin
CHEMICAL COMMUNICATIONS, 2024
3
Revisiting Pyrimidine-Embedded Molecular Frameworks to Probe the Unexplored Chemical Space for Protein-Protein Interactions
Yoo J.Y., 박승범, Choi Y., Kim H.
ACCOUNTS OF CHEMICAL RESEARCH, 2024
1
화학 단백질체학 연구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3년 03월 ~ 2023년 05월
2
화학생물학 기술을 활용한 전통 천연물의 다중 표적단백질 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년 ~ 2022년 08월
3
동아시아 화합물 탐침자 연구네트워크 구축
재단법인 한국연구재단
2020년 08월 ~ 2021년 0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