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홍민호 연구실

강릉원주대학교 치의학과/치의예과

홍민호 교수

Biodevices

Nanomaterials

Bone Tissue Engineering

홍민호 연구실

치의학과/치의예과 홍민호

홍민호 연구실은 치의학과를 기반으로 세라믹 복합재료 및 바이오소재 개발을 중심으로 한 첨단 치과재료 및 조직재생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바이오액티브 글라스, β-트리칼슘포스페이트 등 다양한 무기재료와 고분자 복합체를 활용하여, 생체적합성과 기계적 특성을 동시에 갖춘 혁신적인 치과 및 조직재생용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임플란트, 보철, 골이식재, 신경재생 스캐폴드 등 다양한 임상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성장인자 방출이 가능한 다층 구조의 나노섬유 스캐폴드, 전도성 고분자 기반 신경재생 스캐폴드, 그리고 생체모방 계층구조를 갖는 바이오소재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포의 부착, 증식, 분화 등 생체 내 반응을 정밀하게 조절하고, 조직재생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약물 방출 시스템, 표면처리 기술, 미세구조 제어 등 다양한 공정기술을 융합하여, 실제 임상 적용이 가능한 고기능성 바이오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유수 학술지 논문 게재, 특허 출원, 산학협력 프로젝트, 학술대회 발표 등 다양한 연구성과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항균성 무기 나노입자를 활용한 구강 건강 증진, 성장인자 방출을 통한 신경 및 골조직 재생, 실시간 바이오센서 개발 등 융합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치의학뿐만 아니라, 재생의학, 바이오센서, 나노바이오공학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세라믹 복합재료의 기초 연구부터 임상 적용까지의 전 과정을 아우르며, 미래 바이오의료기술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목표는 환자 맞춤형 고기능성 바이오소재 개발과 더불어,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을 통해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것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산학협력을 통해, 차세대 치과 및 조직재생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Biodevices
Nanomaterials
Bone Tissue Engineering
세라믹 복합재료를 이용한 치과 및 조직재생용 바이오소재 개발
세라믹 복합재료는 치과 재료 및 조직재생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세라믹 복합재료의 구조적, 화학적 특성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치과 보철물 및 임플란트, 그리고 조직재생용 바이오소재로의 응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β-트리칼슘포스페이트, 바이오액티브 글라스 등 다양한 무기재료와 고분자 복합체를 활용하여 생체적합성과 기계적 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세포 부착, 증식, 분화 등 생체 내 반응을 최적화하기 위한 표면처리 기술, 나노 및 마이크로 구조 제어, 약물 방출 시스템 등 다양한 첨단 공정기술과 융합되어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다공성 구조의 세라믹 구형체, 계층적 구조의 스캐폴드, 성장인자 방출이 가능한 하이드로겔 복합체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골조직 및 신경조직 재생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라믹 복합재료 기반 바이오소재 개발은 치과 임상에서의 적용뿐만 아니라, 대규모 골결손, 신경 손상 등 다양한 조직재생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소재의 기초 연구부터 실제 임상 적용까지의 전 과정을 아우르며, 미래 바이오의료기술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조직재생을 위한 나노바이오 소재 및 신경재생 스캐폴드 연구
조직재생, 특히 골조직과 신경조직의 재생을 위한 나노바이오 소재 및 스캐폴드 개발은 본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성장인자 방출이 가능한 다층 구조의 나노섬유 스캐폴드, 전도성 고분자 기반 신경재생 스캐폴드, 그리고 생체모방 계층구조를 갖는 바이오소재를 설계 및 제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세포의 부착, 증식, 분화뿐만 아니라, 조직 내 신호전달 및 재생 환경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전기방사법, 졸-겔 공정, 자기조립 등 첨단 나노공정기술을 활용하여, 세포와 조직의 미세환경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성장인자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복합체, 전도성 고분자층이 코팅된 스캐폴드, 그리고 미세구조 제어를 통한 신경축삭 성장 유도 소재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 손상 환자의 기능 회복, 골조직 결손 치료 등 실제 임상 문제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본 연구실은 신경재생 및 조직재생 관련 특허 출원,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 다양한 연구성과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차세대 조직재생 및 재생의학 분야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1
Evaluation of Surface Hardness and Wear Resistance of a Glass-Hybrid Restorative Material with Nano-filled Resin Coating
홍민호, 이가원, 김해니, 이주현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2505
2
The Application of L-Serine-Incorporated Gelatin Sponge into the Calvarial Defect of the Ovariectomized Rats
홍민호, 이윤조, 오지현, 박수연, 최종호, 권혜영, 채원식, Xiangguo Che, 최재용, 김성곤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202412
3
Color Stability and Surface Roughness of Single-Shade Composite Resin after Finishing and Polishing
홍민호, 신혜원, 김해니, 이주현
대한소아치과학회지, 202408
1
핵 생성 및 성장 기전 연구를 통한 뼈 조직모사 계층구조 생체재료 개발
한국연구재단(교육부)
2023년 03월 ~ 2023년 05월
2
내결함성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소재 한계물성 구현과 고효율/고안정성 광전 소자 제작
한국연구재단
2019년 03월 ~ 2024년 02월
3
생무기물화 원리 기반 자기조립 계면 연구 및 인공 바이오 미네랄 기술 개발
한국연구재단
2018년 06월 ~ 2022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