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강호철 연구실

아주대학교 생리학교실

강호철 교수

강호철 연구실

생리학교실 강호철

강호철 연구실은 신경세포의 생존과 사멸, 유전체 안정성, DNA 손상 복구, 자가항체 기반 질병 진단 등 다양한 의생명과학 분야의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신경세포의 생존 및 사멸 기전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며, 자가포식 및 유전체 안정성 조절 인자인 LC3의 역할에 주목하여 신경계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암 및 신경세포에서 유전체 안정성 유지와 DNA 손상 복구 기전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극복과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 억제 등 다양한 질병의 근본 원인 규명에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 PARP 신호전달, 크로마틴 리모델링 등 다양한 분자적 경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자가항체를 활용한 질병 진단 바이오마커 개발도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간세포암, 유방암, 전신홍반성 루푸스 등 다양한 질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자가항체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한 조기 진단 기술 및 진단 키트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와 산업체 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최신 분자생물학적 기법과 동물 모델, 임상 샘플 분석 등 다각적인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수의 특허 출원과 국제 저명 학술지 논문 발표를 통해 연구 성과를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강호철 연구실은 신경계 질환, 암, 자가면역질환 등 난치성 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위한 융합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의생명과학 분야의 혁신과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신경세포의 생존 및 사멸 기전 연구
강호철 연구실은 신경세포의 생존과 사멸을 결정짓는 분자적 기전을 심도 있게 탐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가포식(autophagy)과 유전체 안정성(genome stability) 조절 인자인 LC3의 역할에 주목하여, 신경세포가 스트레스 환경이나 손상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경세포가 외부 자극에 의해 어떻게 생존하거나 사멸로 이어지는지,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신경퇴행성 질환의 발병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밝히고자 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기법과 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신경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 변화, 단백질 상호작용, 신호전달 경로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LC3가 유전체 안정성 유지와 자가포식 조절에 동시에 관여함을 밝혀내며, 신경세포의 생존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규명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세포의 손상 및 회복 과정에서 핵심적인 분자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의 병태생리 이해와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신경세포의 생존과 사멸을 조절하는 핵심 인자와 경로를 지속적으로 규명하여, 신경계 질환 극복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유전체 안정성 및 DNA 손상 복구 기전 규명
본 연구실은 암 및 신경세포에서 유전체 안정성 유지와 DNA 손상 복구 기전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 PARP(Poly ADP-ribose polymerase) 신호전달, 크로마틴 리모델링 등 다양한 분자적 경로가 유전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DNA 이중가닥 손상(DSB) 복구 과정에서 TRIM44, PARP1, RNF168 등 단백질의 상호작용과 조절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암세포와 신경세포의 생존 및 사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최신 유전체 편집 기술과 단백질 상호작용 분석법을 활용하여, DNA 손상 복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분자적 변화를 정밀하게 추적합니다. 이를 통해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신경세포의 퇴행성 변화 등 질병의 근본 원인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PARP 억제제 감수성 증가, DNA 복구 단백질의 기능 조절 등과 관련된 특허도 다수 출원하였으며, 이는 실제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신경계 질환,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유전체 안정성과 DNA 손상 복구 기전의 심층적 연구를 통해, 질병 극복과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것입니다.
자가항체 기반 질병 진단 바이오마커 개발
강호철 연구실은 자가항체를 활용한 혁신적인 질병 진단 바이오마커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간세포암, 유방암, 전신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자가항체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한 조기 진단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단백질 마이크로어레이, 혈청 엑소좀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여, 질병 특이적 자가항체-항원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의 진단법보다 더 민감하고 특이적인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며,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제로 연구실은 WASF2, TCP1, SMYD3 등 다양한 자가항체를 이용한 진단 조성물 및 진단 키트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일부 기술은 상용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마커의 임상적 유효성 검증을 위해 국내외 의료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바이오마커 개발 연구는 암, 자가면역질환 등 난치성 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 치료 반응 모니터링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새로운 질병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과 임상 적용을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1
An intra articular injectable Mitocelle recovers dysfunctional mitochondriain cellular organelle disorders
강호철
Bioactive Materials, 202409
2
PARP1-TRIM44-MRN loop dictates the response to PARPinhibitors
강호철
Nucleic Acids Research, 202409
3
Anti-TCP1 Antibody Is a Potential Biomarker for Diagnosing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강호철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408
1
자가포식인자 LC3에 의한 유전체 안정성 조절 기전 규명
한국연구재단
2022년 03월 ~ 2023년 02월
2
암 및 신경세포를 대상으로 유전체 안정성 유지에 관여하는 유비커넥스 네트워크 규명
한국연구재단
2019년 03월 ~ 2020년 02월
3
(2세부) 간암 특이적 자가항체-항원 시스템을 통한 간암 조기진단 기술 개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9년 ~ 2019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