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AMSE Lab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김산하 교수

AMSE 연구실은 기계공학과를 기반으로 첨단 제조 및 표면공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목표는 고체-고체 접촉 시 발생하는 접착, 마찰, 마모, 물질 전달, 변형 등 다양한 표면 현상을 정밀하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혁신적인 제조 공정과 고기능성 표면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이론적 모델링, 실험, 데이터 분석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신뢰성 높은 인터페이스와 정밀 엔지니어링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양자 소자 등 첨단 전자기기의 제조를 위한 화학적 기계연마(CMP), 브러시 세정, 하이브리드 본딩 등 표면 평탄화 및 집적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탄소나노튜브, 전기증착 3차원 나노구조 등 혁신적인 소재와 공정법을 활용하여, 에너지 저장 장치, 친환경 필터, 광학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다기능 표면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이브리드 본딩을 위한 신소재 개발, 나노미터 해상도의 표면 측정 기술, 미세구조 패드 기반의 디싱 결함 제어 등 반도체 패키징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인공지능(AI), 머신 비전, 딥러닝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제조 및 디지털 생산 플랫폼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다종소재 적층제조(3D 프린팅), 공정 모니터링, 최적화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자율적이고 맞춤형, 신뢰성 높은 생산 시스템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딥러닝 기반의 CNC 밀링 공정 최적화, 잉크젯 프린팅의 실시간 상태 모니터링, 다종소재 3D 프린팅 장비 개발 등 다양한 응용 사례가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표면 현상의 근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마찰 및 마모를 최소화하고, 접착력과 변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차세대 공정 및 제품 개발로 이어집니다. 미래에는 더욱 복잡한 다중 소재 시스템, 극한 환경에서의 신뢰성 확보, 그리고 맞춤형 표면 기능 구현 등으로 연구가 확장될 전망입니다. AMSE 연구실은 산업계와의 긴밀한 협력, 다양한 특허 및 논문 발표, 국내외 학회 수상 등 활발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미래 제조 및 표면공학 분야의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소재-공정-응용의 통합 최적화, 대량생산 및 산업 현장 적용을 위한 자동화·지능화 기술 개발을 통해, 고부가가치 산업의 핵심 기반 기술을 선도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