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해동 연구실

계명대학교 환경공학과

김해동 교수

김해동 연구실

환경공학과 김해동

김해동 연구실은 환경공학과를 기반으로 기후변화, 도시환경, 국지기상, 극한기후 현상 등 다양한 환경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도시화와 기후변화가 상호작용하며 발생하는 열섬현상, 대기오염, 미기후 변화 등 도시 환경의 복합적인 문제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및 기술적 대안을 제시합니다. 특히, 대구, 부산 등 국내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장기 기후 데이터와 현장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의 열환경, 대기질, 습도, 바람장 등의 시공간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연구합니다. 도시 내 고온현상과 대기오염 간의 상관관계, 폭염 및 한파와 같은 극한기후 현상의 도시별 특성, 그리고 도시계획 및 녹지조성에 따른 미기후 개선 효과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도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지기상 현상과 극한기후 이벤트의 발생 메커니즘과 영향 분석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산풍, 계곡풍, 도시 내 순환풍 등 복잡한 지형과 도시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국지기상 현상을 관측 및 수치모의 기법을 통해 정밀하게 분석하고, 폭염, 한파, 태풍 등 극한기후 현상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 맞춤형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과 재난예방, 생태계 보호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클린로드 시스템, 벽면녹화, 태양광 패널의 열적 영향 평가 등 실제 도시 환경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합니다. 기상자료의 상세화, 위성자료 활용, 실시간 관측 시스템 구축 등 첨단 기상·환경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성과는 기상청, 환경부, 지방자치단체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정책 및 기술 개발로 이어지고 있으며,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도시환경 조성과 사회적 안전망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와 도시환경의 상호작용 연구
김해동 연구실은 기후변화가 도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화로 인한 열섬현상, 대기오염, 미기후 변화 등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환경문제를 기상학적, 환경공학적 관점에서 접근합니다. 이를 위해 도시의 토지이용 변화, 인공열 배출, 녹지공간의 역할 등 다양한 요소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도시 기후의 변동성과 그에 따른 환경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구, 부산 등 국내 주요 도시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기후 데이터와 현장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도시의 열환경, 대기질, 습도, 바람장 등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합니다. 또한, 도시 내 고온현상과 대기오염 간의 상관관계, 폭염 및 한파와 같은 극한기후 현상의 도시별 특성, 그리고 도시계획 및 녹지조성에 따른 미기후 개선 효과 등을 실증적으로 연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 도시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합니다. 나아가 연구실은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 제안과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클린로드 시스템 운영, 벽면녹화, 태양광 패널의 열적 영향 평가 등 실제 도시 환경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그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 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국지기상 및 극한기후 현상 분석
연구실은 국지기상 현상과 극한기후 이벤트의 발생 메커니즘과 영향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산풍, 계곡풍, 도시 내 순환풍 등 복잡한 지형과 도시 구조에 의해 발생하는 다양한 국지기상 현상을 관측 및 수치모의 기법을 통해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지역별 기온, 습도, 바람, 열환경의 미세한 변동을 파악하고, 극한기후 현상(폭염, 한파, 폭우, 태풍 등)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연구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대구, 경북, 부산 등 내륙과 해안 도시를 대상으로 폭염과 한파의 시공간적 특성, 도시와 교외지역 간 열환경 차이, 산지 및 습지의 기후 완화 효과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풍, 열대야, 미세먼지 등 다양한 극한기후 및 환경재해에 대한 실시간 관측과 수치예측 시스템을 개발하여, 기후위기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과학적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지역 맞춤형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립, 재난예방 및 대응체계 강화, 농업·생태계 보호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합니다. 연구실은 기상청, 지방자치단체, 환경부 등과 협력하여 실질적인 정책 및 기술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1
Interdecadal variation of Changma(Kotrean summer monsoon rainy season) retreat date in Korea
김해동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2020
2
Possible combined effect of El Nino-Southern Oscillation and Pacific Decadal Oscillation on Korea affecting tropical cyclone passage frequency
김해동
Atmospheric Science Letters, 2019
3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Korea landfalling tropical cyclone activity and Pacific Decadal Oscillation
김해동
DYNAMICS OF ATMOSPHERES AND OCEANS, 2019
1
AI 기후환경시스템 구축 및 대구염색산단 미세먼지 영향 상세 공간분포 평가의 시범적 적용
대구녹색환경지원센터
2023년 03월 ~ 2023년 12월
2
대구광역시 달서구 기후위기 대응책 수립연구
대구광역시 달서구의회
2021년 04월 ~ 2021년 07월
3
대구시 기후변화 대응 극한기후 적응대책 마련 연구
대구녹색환경지원센터
2019년 05월 ~ 2019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