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알레르기내과 및 천식 연구

조상헌 연구실은 알레르기내과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천식, 알레르기 비염, 만성 기침, 아토피 피부염 등 다양한 알레르기 질환의 발병 기전, 진단,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임상 환자 데이터를 바탕으로 천식의 다양한 표현형과 아형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천식의 경우, 유전자 다형성, 면역세포의 역할, 미생물군집(마이크로바이옴), 환경 요인 등 복합적인 요인이 질병의 발생과 악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특히 노인 천식, 중증 천식, 비아토피성 천식 등 특수 집단에서의 임상적 특성과 면역학적 기전을 규명하고, 국내외 대규모 코호트 및 레지스트리 데이터를 활용하여 한국인 천식의 특성을 세계적으로 알리고 있습니다. 또한, 알레르기 질환의 진단 및 치료 표준화, 생체표지자(바이오마커) 개발, 새로운 생물학적 제제(바이오로직스) 및 면역조절 치료법의 임상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와 예후 예측,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약물 및 환경 유발 알레르기 반응과 면역조절 연구

본 연구실은 약물유발 알레르기, 조영제 및 항생제 과민반응, 중증 피부 이상반응(SCARs), 아나필락시스 등 다양한 약물 및 환경 유발 알레르기 반응의 역학, 진단,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대규모 데이터베이스와 병원 전산 시스템을 활용하여 약물 부작용의 발생률, 위험인자, 유전적 소인(HLA 등)을 규명하고, 환자 맞춤형 예방 및 관리 전략을 개발합니다. 특히, 조영제 및 항암제 탈감작 프로토콜, 약물유전체(Pharmacogenomics) 기반의 위험 예측, 피부반응검사 및 바이오마커 개발 등 임상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진단 및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약물유발 아나필락시스 및 중증 피부반응 환자에서의 면역세포 활성, 사이토카인 프로파일, 유전자 발현 등 면역학적 기전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미세먼지, 담배연기, 바이러스 등 환경 요인이 알레르기 및 천식 악화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미생물군집 변화와 알레르기 질환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조기 진단, 맞춤형 치료 및 사회적 부담 경감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