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FSKLab @ CAU - ChemE

중앙대학교 화학공학과 김선주 교수

FSKLab @ CAU - ChemE 연구실은 첨단 고분자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의 설계, 합성, 가공, 그리고 소자 응용에 이르는 전 주기를 아우르는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자, 에너지, 센서,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소재 및 소자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분자 및 유무기 복합소재의 구조-물성-공정-성능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소재의 근본적 이해와 혁신적 응용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연구실은 유기 트랜지스터, 유기 태양전지, 유기 메모리, 유연 센서, 인공 시냅스 등 차세대 유기전자소자 및 에너지 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전기화학 도핑, 강유전 분극, 이온-전자 복합전달 등 다양한 물리화학적 현상을 활용한 소자 구조 및 공정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생분해성 전자소자, 저전력·고속 스위칭 트랜지스터, 신경모방 인공지능 소자, 고효율·장수명 태양전지, 열전소자 등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ICT 및 에너지 소자 연구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박막 공정기술(스핀코팅, 바코팅, 딥코팅 등), 나노구조 분석, 전기적 특성 평가, 시뮬레이션 및 컴퓨터 모델링 등 첨단 실험 및 분석 장비를 활용하여 소재와 소자의 특성을 정밀하게 규명합니다. 또한, 소재의 도핑, 패터닝, 코팅, 표면처리 등 다양한 가공기술을 적용하여 최적의 소자 성능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고성능·고신뢰성 소재 및 소자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산학협력, 국제 컨퍼런스 발표 등을 통해 연구성과의 실용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미래형 스마트 디바이스, 웨어러블 전자, 사물인터넷(IoT)용 저전력 소자 등 차세대 융합기술을 선도하며, 전자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혁신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FSKLab은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연구를 통해 미래 첨단 전자 및 에너지 산업의 혁신을 이끌고, 지속가능한 사회와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학생들과 연구원들은 이론적 지식과 실무적 역량을 동시에 갖추며,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