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고분자 및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의 구조-물성-공정-성능 관계 연구
본 연구실은 고분자와 유무기 하이브리드 소재의 구조, 물성, 공정, 그리고 성능 간의 상관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합니다. 고분자 및 유무기 복합소재는 전자, 에너지, 센서,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분자 구조의 설계부터 합성, 가공, 그리고 실제 소자 적용에 이르는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소재의 특성과 성능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모색합니다. 특히, 소재의 미세구조와 결정성, 상분리 현상, 나노 및 메조스케일에서의 현상들이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이론적으로 규명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박막 공정기술(스핀코팅, 바코팅, 딥코팅 등)과 나노구조 분석, 전기적 특성 평가, 시뮬레이션 및 컴퓨터 모델링을 병행하여 소재의 거동을 정밀하게 파악합니다. 또한, 소재의 도핑, 패터닝, 코팅, 표면처리 등 다양한 가공기술을 적용하여 최적의 소자 성능을 달성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반도체, 디스플레이, 에너지 변환 및 저장 소자,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소재의 근본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고성능·고신뢰성 소재 및 소자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래 첨단 전자 및 에너지 산업의 혁신을 선도하고자 합니다.
2
차세대 유기전자소자 및 에너지 소자 개발
연구실은 차세대 유기전자소자 및 에너지 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유기 트랜지스터, 유기 태양전지, 유기 메모리, 유연 센서, 인공 시냅스 등 다양한 전자 및 에너지 소자에 적용 가능한 고분자 및 복합소재의 설계와 공정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유기 반도체의 전하 이동 특성, 계면 제어, 박막의 균일성 및 신뢰성 향상에 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생분해성 전자소자, 저전력·고속 스위칭 트랜지스터, 신경모방(뉴로모픽) 인공지능 소자, 고효율·장수명 태양전지, 열전소자 등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ICT 및 에너지 소자 개발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전기화학 도핑, 강유전 분극, 이온-전자 복합전달 등 복합 물리화학적 현상을 활용한 소자 구조 및 공정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국제 공동연구 및 산학협력을 통해 실제 산업적 응용 가능성을 높이고, 미래형 스마트 디바이스, 웨어러블 전자, 사물인터넷(IoT)용 저전력 소자 등 차세대 융합기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전자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혁신을 창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