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응웬띤득 연구실

경기대학교 사회에너지시스템공학과

응웬띤득 교수

Photocatalytic Degradation

Microplastics Ecotoxicity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응웬띤득 연구실

사회에너지시스템공학과 응웬띤득

응웬띤득 연구실은 사회에너지시스템공학과 소속으로, 환경/청정화학공학을 기반으로 한 첨단 환경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폐수 및 오염물질 처리,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 자원화, 에너지 회수, 자원순환 등 다양한 환경공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세플라스틱, 약물, 중금속, 유기오염물질 등 복합 오염원의 동시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 기술과, 바이오차, 촉매, 흡착제, 막생물반응기, 전기화학적 공정 등 다양한 융합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실 연구를 넘어 파일럿 및 현장 적용까지 확장하여, 실제 하·폐수처리장, 농업 및 산업 현장에서의 기술 실증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머신러닝, 인공지능, 심층신뢰신경망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환경공학에 접목하여, 공정의 자동화, 최적화, 예측 모델링 등 혁신적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경문제 해결과 더불어 에너지 효율성, 경제성, 지속가능성까지 고려한 통합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 자원화 분야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농업잔재물, 해조류 등 다양한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하여 바이오가스, 바이오수소, 바이오차 등 고부가가치 에너지 및 소재로 전환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혐기성 소화, 열화학적 전환, 촉매 및 효소 기반 전처리, 바이오리파이너리 등 다양한 공정 개발과 함께, 에너지 및 물질수지 분석, 온실가스 저감 효과 평가 등 환경적·경제적 측면도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가 연구재단, 환경산업기술원,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다양한 기관의 지원을 받아 다수의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학술대회 발표 등에서 우수한 연구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또한, 현장 적용을 통한 실질적 환경개선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응웬띤득 연구실은 환경오염 저감, 자원순환, 에너지 회수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혁신적 환경기술 개발과 현장 적용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사회와 미래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Photocatalytic Degradation
Microplastics Ecotoxicity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환경/청정화학공학 기반의 폐수 및 오염물질 처리 기술
응웬띤득 연구실은 환경 및 청정화학공학을 기반으로 하여 폐수 및 다양한 오염물질의 효과적인 처리 기술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하·폐수 내에 존재하는 미세플라스틱, 약물, 중금속, 유기오염물질 등 다양한 오염원의 제거를 위해 첨단 흡착제, 촉매, 생물학적 처리 및 전기화학적 공정 등 다양한 공정기술을 융합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습지, 막생물반응기, 전기응집, 광촉매 및 바이오차 기반의 고도처리 기술 개발에 많은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험실 규모를 넘어 파일럿 및 현장 적용까지 확장되고 있으며, 실제 하·폐수처리장, 농업 및 산업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오염물질의 동시 제거, 에너지 회수, 자원화 등 환경공학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환경관리와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머신러닝 및 인공지능 기반의 공정 최적화, 예측 모델링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환경공학에 접목하여 효율성과 경제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 분야는 국내외 학술지와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환경오염 저감과 자원순환, 에너지 회수 등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실질적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혁신적 기술 개발과 현장 적용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바이오매스 및 폐기물 자원화와 에너지 회수
본 연구실은 바이오매스 및 다양한 폐기물의 자원화와 에너지 회수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음식물 쓰레기, 하수슬러지, 농업잔재물, 해조류 등 다양한 유기성 폐기물을 활용하여 바이오가스, 바이오수소, 바이오차 등 고부가가치 에너지 및 소재로 전환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특히, 혐기성 소화, 열화학적 전환, 촉매 및 효소 기반의 전처리, 그리고 바이오리파이너리 개념을 적용한 통합 공정 개발에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폐기물의 효율적 분해 및 에너지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정 최적화, 에너지 및 물질수지 분석, 온실가스 저감 효과 평가 등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합니다. 또한, 인공지능 및 심층신뢰신경망(Deep Belief Network) 등 첨단 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바이오매스 자원화 공정의 자동화 및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가 연구재단, 환경산업기술원 등 다양한 기관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연구는 에너지 자립형 도시, 탄소중립 실현, 자원순환 사회 구축 등 국가적·글로벌 환경정책과도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에너지 생산과 폐기물 저감, 환경보호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혁신적 자원화 기술 개발에 매진할 예정입니다.
1
Microplastics and pharmaceuticals from water and wastewater: Occurrence, impacts, and membrane bioreactor-based removal
응웬띤득, D. Nguyen, Minh-Ky Nguyen, Quoc-Minh Truong, Thu Dau Mot Universi, Minh-Thuan Pham, S. Woong Chang
SEPARATION AND PURIFICATION TECHNOLOGY, 202507
2
Advanced TiO2 and Al2O3 Modularized Adsorbents and Practical Application Strategies for Enhanced Arsenic Removal from Water
응웬띤득, Younghee Jang, Sung Su Kim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202505
3
The potential release of microplastics from paint fragments: Characterizing sources, occurrence and ecological impacts
응웬띤득, Pham Minh Thuan, Minh-Ky Nguyen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202505
1
인공지능 기반 통합소화시스템 자산관리/운영 자동화 모듈 및 플랫폼 개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4년 ~ 2024년 12월
2
혐기성소화 효율 극대화를 위한 융합가용화/이화학적/생물학적 지표 상관성 구축 및 심층신뢰신경망 플랫폼 최적화 : 미활용 폐바이오매스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2022년 03월 ~ 2023년 02월
3
원료 유연형 바이오가스 생산 공정개선을 위한 Engineering 기술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0년 03월 ~ 2020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