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봉 연구실
의과대학 이은봉
이은봉 연구실은 분자의학 및 바이오제약학과에 소속되어, 류마티스 질환을 중심으로 한 자가면역질환의 분자적 병태생리, 임상역학, 치료 및 예방에 관한 다각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전신성 경화증, 베체트병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환자 코호트와 국가 단위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질환의 유병률, 위험인자, 예후, 사망률, 동반질환, 약물 효과 및 부작용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자가면역질환 환자에서의 감염 위험 및 백신 접종 효과에 대한 선도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COVID-19, 인플루엔자, 대상포진, 폐렴구균 등 다양한 백신의 면역원성, 안전성, 임상적 효과를 대규모 임상시험과 코호트 연구를 통해 규명하였으며, 면역억제제와 백신 간의 상호작용, 최적의 접종 전략, 약물 중단 시기 등에 대한 근거 기반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진 및 환자 대상의 백신 인식 및 접종률 향상 방안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분자생물학, 유전체학, 단백질체학 등 첨단 오믹스 기술을 활용하여 자가면역질환의 발병 기전, 유전자 다형성, 바이오마커, 면역세포 아형의 변화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환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타깃 발굴 등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약 개발, 이중 타깃 항체, 진단키트 등 바이오제약 분야의 혁신적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은봉 교수 연구팀은 국내외 다기관 협력 연구, 정부 및 산업체 지원 과제, 임상시험, 환자 중심의 임상연구 등 다양한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 진료와 환자 관리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내외 주요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고 있으며, 국가 진료지침 및 정책 수립에도 반영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은 환자 중심의 임상 연구와 첨단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융합하여, 자가면역질환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 그리고 바이오제약 혁신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질환의 근본적 이해와 새로운 치료법 개발, 예방의학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류마티스 질환의 분자적 병태생리 및 임상 연구
이은봉 연구실은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전신성 경화증, 베체트병 등 다양한 류마티스 질환의 분자적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대규모 코호트 및 국가 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질환의 유병률, 위험인자, 예후, 사망률, 동반질환 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류마티스 질환 환자에서의 감염 위험, 백신 반응, 약물 부작용 등 실제 임상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근거 기반의 해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자가면역질환의 발병 기전을 규명하고, 유전자 다형성, 단백질 바이오마커, 면역세포의 기능적 변화 등을 분석하여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의 특정 유전자 변이, 자가항체,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면역세포 아형의 변화가 질환 활성도와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오믹스(유전체, 단백질체, 대사체) 분석을 통해 새로운 바이오마커와 치료 타깃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 진료 지침 및 환자 관리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환자 중심의 임상 연구와 첨단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융합하여, 류마티스 질환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맞춤형 정밀의료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 환자에서의 백신 및 감염 관리 연구
본 연구실은 자가면역질환 환자,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전신성 경화증 등 면역억제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의 백신 접종 효과와 감염 위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자가면역질환 환자의 백신 면역원성, 감염률, 중증도, 백신 부작용 등을 대규모 코호트 및 임상시험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백신 접종 가이드라인 및 임상 권고안을 제시하였습니다.
연구실은 인플루엔자, 대상포진, 폐렴구균 등 다양한 백신의 면역반응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 면역억제제(예: 메토트렉세이트, JAK 억제제, TNF 억제제 등)와 백신 간의 상호작용, 백신 접종 시기 및 약물 중단 전략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백신 접종에 대한 의료진 및 환자 인식 조사, 백신 접종률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정책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자가면역질환 환자의 감염 예방과 안전한 백신 접종을 위한 실질적인 근거를 제공하며, 환자 맞춤형 예방의학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회 및 정책기관에 반영되어, 고위험군 환자의 감염 예방 및 건강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Behcet`s disease
이은봉, Jung You Jin, Park Eun Hye, Kim Ju Yeon, Lee Eun Kyoung, Choi Yunhee
CLINICAL RHEUMATOLOGY, 2024
2
Risk of urolithiasis associated with allopurinol versus benzbromarone among patients with gout: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강은하, 이윤종, Shin A., Park C.S., 이은봉, Curhan G., Choi H.K.
RHEUMATOLOGY, 2024
3
Immunogenicity, reactogenicity, and safety of two-dose adjuvanted herpes zoster subunit vaccine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South Korea: a single- centre,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박진균, Kim Miriam, 이은봉, Jung Ji In, Kim Ju Yeon, Jeong Heejin, Park Jun Won, Winthrop Kevin L.
Lancet Rheumatology, 2024
1
베체트병 환자에서 제1형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한 Th1/Th2 사이토카인의 변화
2
한국인 베체트병 환자에서 HLA-B51 및 TNF/TNFR2 유전자의 다형성 분석
3
한국인 베체트병 환자에서 IL-8 및 IL-8 수용체 유전자의 다형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