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ung Hee University
치의학과 홍지연
경희대학교 치의학과 홍지연 교수 연구실은 임상치주학, 치과 임플란트, 골재생,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등 치의학 분야의 다양한 핵심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치주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 그리고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 향상을 위한 첨단 연구를 통해 임상적·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치주질환은 치아를 지지하는 조직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실에서는 타액 내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RT-PCR 및 NGS 기반 진단 알고리즘 개발, 생체지표 탐색 등 혁신적인 진단 기술을 도입하여 치주질환의 조기 발견과 예후 예측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환자 선호도 및 후회도 평가를 통한 공유의사결정 모델 개발 등 환자 중심의 임상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및 골재생 분야에서는 다양한 생체재료(합성골, 콜라겐 매트릭스, 티타늄 메시, 성장인자 등)와 수술기법(상악동 거상술, 치조제 보존술, 연조직 증대술 등)의 효과를 동물실험 및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표면처리, 골유착 촉진, 연조직 관리 등 임플란트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서는 치주질환, 구강암, 류마티스 관절염 등 다양한 질환과의 연관성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및 분자생물학적 기법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구강 내 미생물 군집의 변화가 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바이오마커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구강 건강과 전신 건강의 연계성을 과학적으로 밝히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임플란트 실패 위험요인 분석, 장기 생존율 평가, 환자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 개발 등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이러한 노력은 치의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뿐만 아니라, 환자 삶의 질 향상과 국민 구강 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Alveolar Ridge Preservation
Dental Implants
Periodontitis
치주질환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임상치주학 연구
본 연구실은 치주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임상치주학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치주질환은 치은염과 치주염을 포함하며, 치아를 지지하는 조직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실에서는 타액 내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RT-PCR 및 NGS 기법을 활용한 진단 알고리즘 개발, 그리고 생체지표(biomarker) 탐색 등 다양한 첨단 진단 기술을 도입하여 치주질환의 조기 발견과 예후 예측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치주질환의 치료 측면에서는 임플란트 시술 전후의 치조골 재생, 연조직 및 경조직 증대술, 그리고 다양한 골이식재 및 성장인자(예: Polydeoxyribonucleotide,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등)의 적용 효과를 동물실험과 임상연구를 통해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임플란트 주위염, 치주염 환자에서의 맞춤형 치료 전략, 그리고 환자 선호도 및 후회도 평가를 통한 공유의사결정 모델 개발 등 환자 중심의 임상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치주질환의 병태생리 이해를 심화시키고,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함으로써,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치주질환과 전신질환(예: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등)과의 연관성 연구도 병행하여,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치과 임플란트 및 골재생 기술 개발
연구실은 치과 임플란트의 성공률 향상과 골재생 촉진을 위한 다양한 생체재료 및 수술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식립 시 치조골 결손 부위의 재생을 위해 합성골 이식재, 콜라겐 매트릭스, 티타늄 메시, Polydeoxyribonucleotide(PDRN) 등 다양한 재료의 효과를 동물실험 및 임상시험을 통해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악동 거상술, 치조제 보존술, 연조직 증대술 등 고난이도 술식의 예후와 합병증 관리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임플란트 표면의 미세구조 및 생체적합성 개선을 위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으며, 다공성 티타늄 구조, 성장인자 코팅, 표면처리 기술 등이 골유착 및 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임플란트 주위 연조직의 두께 및 형태 변화, 치은 이식술, 콜라겐 매트릭스 적용 등 연조직 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임플란트 실패 위험요인 분석, 장기 생존율 평가, 그리고 환자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 개발을 통해 임플란트 시술의 안전성과 예측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의 임플란트 치료 성적 향상과 환자 삶의 질 증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구강 마이크로바이옴과 전신질환의 상관성 연구
본 연구실은 구강 내 미생물 군집(마이크로바이옴)이 치주질환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신질환(예: 류마티스 관절염, 골관절염, 구강암 등)과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선도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의 조성과 다양성, 그리고 특정 병원균(예: Porphyromonas gingivalis, Treponema denticola, Lactobacillus casei, Candida albicans 등)이 질환의 발생 및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및 실시간 PCR 등 첨단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통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치주질환 환자와 건강인의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비교, 구강 내 휘발성 황화합물(VSC)과 구취, 치주염의 상관성, 그리고 구강암 환자에서의 미생물 변화 등 다양한 임상연구를 통해 구강 마이크로바이옴이 질환의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치주질환과 전신 염증성 질환 간의 상호작용, 심리적 스트레스와의 연관성, 그리고 새로운 진단 및 예후 예측 지표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예방적 구강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구강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비침습적 진단법 및 인공지능을 활용한 진단 알고리즘 개발 등 혁신적 연구도 추진 중입니다.
1
Development of a survey-based stacked ensemble predictive model for autonomy preferences in patients with periodontal disease
Oh, S. H., Lee, J. H., Hong, J. Y., Jung, J. Y., Ko, K. A., Lee, J. S.
Journal of Dentistry, 2025
2
Effects of Polydeoxyribonucleotide (PDRN) on Endosinus Bone Regeneration Following Sinus Floor Elevation: An Experimental In Vivo Pilot Study
Lim, H., Hong, J. Y., Shin, S. I., Chung, J. H., Thoma, D. S., Jung, R. E., Lim, H. C.
Clinical Oral Implants Research, 2025.02
3
Oral microbiome profiles of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among a group of hospital patients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Lee, Y. H., Park, H. J., Jeong, S. J., Auh, Q. S., Jung, J., Lee, G. J., Shin, S., Hong, J. Y.
Journal of Oral Biosciences, 2025.03
1
[생애 첫 연구, 1/4]치주질환에 이환된 노화 치주조직에서 멜라토닌의 안티에이징 효과와 작용기전 규명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