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치운 연구실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배치운
배치운 연구실은 정신약물학 및 약물유전학을 기반으로 우울증, 양극성장애, 조현병 등 다양한 정신질환의 치료 및 병태생리에 대한 심층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에서 활발한 임상연구와 다기관 협력연구를 통해, 실제 임상현장에서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을 개발하고, 치료 저항성 환자에서의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항우울제, 항정신병제, 기분안정제 등 다양한 약물의 단독 및 병용치료 효과, 부작용, 내약성, 환자 특성에 따른 반응 예측 인자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아리피프라졸, 아고멜라틴, 에스케타민, 퀘티아핀 등 신약 및 새로운 기전의 약물에 대한 임상시험과 메타분석을 통해, 치료 저항성 우울증, 불안장애, 노인 우울증 등 다양한 임상군에서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현병 및 양극성장애 환자에서의 장기지속형 주사제(LAI)와 경구제의 비교, 다약제 병용 전략, 약물전환 시의 임상적 결과, 대사증후군 등 부작용 관리 등 실제 임상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약물유전학 연구를 통해 BDNF, COMT, DRD2, GRIA, TAAR6 등 다양한 유전자 다형성과 치료반응, 부작용 발생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환자별 맞춤형 치료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정신질환의 생물학적 표지자(염증성 사이토카인, 신경영양인자 등)와 임상적 증상, 치료반응 간의 상관관계를 다각적으로 탐구하며, 이를 바탕으로 정밀의학적 접근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또한, 임상연구 설계 및 수행, 임상진료지침 개발, 환자 삶의 질 향상, 자살 예방, 노인정신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술적·사회적 기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학회 및 연구재단과의 협력, 대규모 연구과제 수행, 임상연구자 교육 등 학문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신약물학 및 약물유전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를 통해, 정신질환 환자의 치료 성과 향상과 정신건강 증진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정신약물학 기반 우울증 및 기분장애 치료 연구
본 연구실은 우울증, 양극성장애 등 다양한 기분장애의 치료를 위한 정신약물학적 접근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임상연구에서는 기존 항우울제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우울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약물의 병용 및 증강치료 전략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리피프라졸, 아고멜라틴, 에스케타민 등 새로운 기전의 약물들이 주요 우울장애 환자에서 신속한 증상 개선과 높은 관해율을 보이는지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약물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하는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과 메타분석을 통해, 실제 임상현장에서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항우울제, 항정신병제, 기분안정제의 단독 및 병용치료 효과, 부작용 프로파일, 환자 특성에 따른 반응 예측 인자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치료 저항성 환자에서의 새로운 치료 옵션 개발과 최적화된 치료 알고리즘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노인 우울증, 노년기 인지장애 동반 우울증, 불안장애, 자살 위험군 등 다양한 임상군을 포함하며, 약물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생체표지자, 유전적 요인 등도 함께 탐구합니다. 궁극적으로 환자 개별 특성에 맞는 정밀의학적 접근을 실현하고, 국내외 임상진료지침 개선 및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정신분열병 및 조현병의 약물치료와 약물유전학 연구
본 연구실은 조현병(정신분열병) 및 관련 정신질환의 약물치료 효과와 부작용, 그리고 약물유전학적 요인에 대한 심층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항정신병제(예: 아리피프라졸, 올란자핀, 리스페리돈, 퀘티아핀 등)의 임상적 유효성과 내약성, 장기 치료에서의 효과, 대사증후군 등 부작용 발생률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장기지속형 주사제(LAI)와 경구제의 비교, 다약제 병용(폴리파머시) 전략의 실제 임상적 유용성, 치료전략 변경 시의 임상적 결과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더불어, 조현병 환자에서의 약물반응성과 부작용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유전자 다형성(예: BDNF, COMT, DRD2, GRIA, TAAR6 등)과 임상적 치료결과의 연관성을 분석하는 약물유전학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별 맞춤형 치료전략 수립, 부작용 최소화, 치료 반응 예측 모델 개발 등 정밀의학적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신질환의 생물학적 표지자(예: 염증성 사이토카인, 신경영양인자, 혈액지표 등)와 임상적 증상, 치료반응 간의 상관관계를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대규모 다기관 임상연구, 유전체 연구, 메타분석 등 다양한 연구방법론을 활용하여, 조현병 및 관련 질환의 치료 성과 향상과 환자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a smart mental health intervention (inMind) for stress reduction during 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mild to moderate major depressive disorders: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 trial
김준형, 신철민, 한규만, 이문수, 정현강, 배치운, Ashwin A. Patkar, Prakash M. Masand, 한창수
FRONTIERS IN PSYCHIATRY, 202303
2
Key considerations for the use of ketamine and esketamine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focusing on administration, safety, and tolerability
Kritzer Michael D., 배치운, Masand Prakash S.
EXPERT OPINION ON DRUG SAFETY, 202206
3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7 self-rating Scale
이승훈, 신철민, 김현욱, 전상원, 윤호경, 고영훈, 배치운, 한창수
ASIA-PACIFIC PSYCHIATRY, 202203
1
생물학적 표지자를 이용한 한국인 우울증의 통합형 치료반응 지표 및 치료 알고리즘 개발
2
한국인 정신분열병의 사이토카인 유전자다형성 상호작용 및 임상적 특성과의 관련성 : 치료 효과 및 이상 반응 예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