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망막 질환의 진단 및 치료

지동현 연구실은 망막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주제로는 당뇨망막병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망막정맥폐쇄, 중심장액맥락망막병증 등이 있으며, 이들 질환의 병태생리, 진단기술 개발, 치료 전략 최적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국가 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활용한 역학 연구와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실제 진료 환경에서의 치료 효과 분석을 통해 한국인 환자 집단에 특화된 진단 및 치료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주사, 스테로이드 임플란트, 레이저 광응고술 등 다양한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분석하고, 환자별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망막 질환의 예후 예측을 위한 영상 분석, 바이오마커 탐색, 유전자 다형성 연구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기반의 영상 판독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고 있으며, 국가 검진사업 및 건강보험 정책 수립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망막 질환의 조기 진단, 맞춤형 치료, 사회경제적 부담 경감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환자와 사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2

녹내장 및 전안부 질환의 임상 및 경제성 평가

지동현 연구실은 녹내장 및 전안부 질환의 임상적 특성 분석과 더불어, 치료 및 검진 전략의 경제성 평가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녹내장 환자의 진단, 치료, 추적관찰 주기, 약물 순응도, 수술적 치료의 효과와 비용효과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한국 의료 환경에 적합한 최적의 진료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건강보험 청구 데이터와 대규모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 패턴과 사회경제적 비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녹내장 환자의 삶의 질, 사회적 비용, 의료비용, 비의료비용, 생산성 손실비용 등 다양한 경제적 지표를 산출하여, 국가 단위의 검진 정책 및 치료 가이드라인 수립에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 다형성, 생활습관, 영양, 혈압, 혈당 등 다양한 위험인자와 녹내장 발생 및 진행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맞춤형 예방 및 관리 전략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안과 수술 후 합병증, 방수 내 사이토카인 변화, 약물의 효과와 부작용 등 임상적 측면에서도 심층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학술대회 및 학술지에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보건의료 정책 결정자와 임상의들에게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녹내장 및 전안부 질환의 조기 진단, 효율적 관리, 사회적 부담 경감에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