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반도체 소자 및 물성 연구실

부산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반도체공학전공

이성식 교수

Charge Trapping Mechanisms

Thin-Film Transistors

Synaptic Transistors

반도체 소자 및 물성 연구실

반도체공학전공 이성식

반도체 소자 및 물성 연구실은 시냅틱 트랜지스터와 박막 트랜지스터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시냅틱 트랜지스터 분야에서의 연구는 초저전력 소자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프로젝트 알파, 프로젝트 감마, 삼성 산학협력과제 등 다수의 연구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수의 논문과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 또한, 전하 포획 메커니즘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성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뛰어난 측정 및 분석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반도체 소자의 물성을 규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반도체 공학 분야에서의 연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습니다.

Charge Trapping Mechanisms
Thin-Film Transistors
Synaptic Transistors
초저전력 시냅스 소자 연구
초저전력 시냅스 소자는 인공지능 및 뉴로모픽 컴퓨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초저전력 시냅스 트랜지스터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Hf-doped ZnO 채널층을 활용한 저전력 시냅스 패스 트랜지스터의 전압 의존 가중치 업데이트 특성을 분석합니다. 또한, 비선형 저항 소자의 전하 유지 특성을 연구하며, 이러한 소자가 신경망 학습 및 데이터 유지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조사하고 있습니다.
불규칙 박막 트랜지스터의 온도 및 시간 의존 불안정성 메커니즘
불규칙 박막 트랜지스터는 다양한 전자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지만, 온도와 시간에 따라 성능에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불규칙 박막 트랜지스터의 온도 및 시간 의존 불안정성 메커니즘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장기적인 신뢰성 향상 및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의 안정적인 성능 제공을 목표로 합니다.
투명 반도체 기반 터치프리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기술
투명 반도체 기술은 터치프리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개발에 핵심적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투명 도체 산화물 기술을 바탕으로 터치프리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물리적 메커니즘 및 응용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투명 광전 소자의 안정성 및 성능 최적화에 중점을 두며,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1
Orthogonally-induced potential with current for transistors
Sungsik Lee
NRF, 2024
2
Temperature and time-dependent instability mechanisms in disordered thin film transistors
Sungsik Lee
NRF, 2024
3
Activation Energy and Localization Length in Oxide TFTs
Sungsik Lee
NRF, 2024
1
BRL 과제 for 2021 – 202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 NRF 지원
2021년 ~ 2024년
2
PNU 기본과제 for 2017 – present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7년 ~
3
NRF 신진연구과제 for 2018 – 202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정 / NRF 지원
2018년 ~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