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종혁 연구실

충북대학교 기초의학전공(의대)

박종혁 교수

박종혁 연구실

기초의학전공(의대) 박종혁

박종혁 연구실은 예방의학 및 직업환경의학을 기반으로, 장애인과 사회적 취약계층의 건강권 보장과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가 단위의 빅데이터, 장애인 등록자료, 건강보험 청구자료, 암등록자료 등 다양한 공공데이터를 연계·분석하여 장애인의 건강상태, 만성질환 및 암의 유병률, 사망률, 의료이용 실태, 건강검진 참여율, 미충족 의료 경험 등 건강불평등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간의 암 진단, 치료, 생존율, 만성질환 관리 등에서 나타나는 격차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장애 유형, 중증도, 성별, 소득수준 등 다양한 사회적 결정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장애인 맞춤형 건강정책의 근거를 마련하고, 지역사회 기반 건강관리 모델 개발, 장애인 건강검진 제도화, 통합 돌봄 및 재활 서비스 설계 등 실질적인 정책 제언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암 및 만성질환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경제적 부담 등 다차원적 건강결과를 평가하고, 환자와 가족,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 치료결정 과정, 돌봄 부담 등도 함께 연구합니다. 또한, 암생존자 관리, 2차 암 검진, 희귀난치성질환, 말기암 환자 돌봄, 의료비 지원정책 등 실질적인 정책 개선 방안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반의 건강정보 분석, 의료기기 및 의약품 생애주기 데이터베이스 구축, 금연캠프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장애인 건강내비게이션 플랫폼 개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장애인과 사회적 약자의 건강권 보장, 건강불평등 해소, 환자 중심의 통합 돌봄 체계 구축 등 국가적·사회적 과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박종혁 연구실은 다학제적 협력과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모두가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실질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장애인 및 취약계층의 건강권 신장과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연구
본 연구실은 장애인의 건강권 보장과 의료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장애인은 일반 인구에 비해 만성질환, 암, 정신건강 문제 등 건강 위험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의료서비스 이용에 있어 여러 장벽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연구실은 장애인의 건강상태, 의료이용 실태, 미충족 의료 경험, 건강검진 참여율 등 다양한 지표를 분석하여 장애인의 건강 불평등 실태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가 단위의 빅데이터와 장애인 등록 데이터, 건강보험 청구자료, 암등록자료 등을 연계하여 장애인의 질병 유병률, 사망률, 만성질환 관리, 암 진단 및 치료 격차, 건강검진 참여율 등 다양한 건강지표의 격차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장애 유형, 중증도, 성별, 소득수준 등 다양한 사회적 결정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고, 장애인 맞춤형 건강정책의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장애인 건강권 보장 및 의료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지역사회 기반 건강관리 모델 개발, 장애인 건강검진 제도화, 통합 돌봄 및 재활 서비스 설계 등 실질적인 사회적 변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과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다학제적 협력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암 및 만성질환 관리와 건강불평등 연구
연구실은 암, 당뇨병, 고혈압,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등 만성질환 및 암 환자에서의 건강불평등 문제를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특히 장애인과 비장애인, 사회경제적 취약계층 간의 암 진단, 치료, 생존율, 사망률 등에서 나타나는 격차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국가 단위의 빅데이터와 다양한 임상자료를 활용하여, 암환자의 진단 시기, 치료 접근성, 치료 방법, 생존율, 삶의 질, 의료비 부담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불평등의 원인과 결과를 규명합니다. 암환자 및 만성질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정신건강, 사회적 지지, 경제적 부담 등 다차원적 건강결과를 평가하고, 환자와 가족,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 치료결정 과정, 돌봄 부담 등도 함께 연구합니다. 또한, 암생존자 관리, 2차 암 검진, 희귀난치성질환, 말기암 환자 돌봄, 의료비 지원정책 등 실질적인 정책 개선 방안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및 만성질환 환자의 건강불평등 해소,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개발, 환자 중심의 통합 돌봄 체계 구축, 사회적 약자 보호를 위한 건강정책 수립 등 국가적·사회적 과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Longitudinal analysis of anxiety and sleep disorders in the Korean population with disabilities, from 2006 to 2017: Incidence,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disability type and severity
김윤용, 김소영, 엽경은, 이혜영, 박종혁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2501
2
Disparitie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among patients with disabilities
박종혁, 김기배, 신동욱, 엽경은, 김소영, 한종호, 박선미, 박종헌
WORLD JOURNAL OF GASTROINTESTINAL ONCOLOGY, 202407
3
Did public-private partnerships reduce TB incidence in Korea?
박종혁, 김소영, 박종은, 민진수
INTERNATIONAL JOURNAL OF TUBERCULOSIS AND LUNG DISEASE, 202406
1
장애 특성별 건강궤적 추적을 통한 장애인 건강내비게이션 플랫폼 개발[종료]
한국연구재단(교육부)
2025년 03월 ~ 2025년 05월
2
고령 장애인의 미충족 의료-요양-돌봄 현황 및 통합지원 모델 개발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2024년 10월 ~ 2025년 04월
3
2024 담배 BYE, 건강 HI 프로그램
충청북도교육청
2024년 05월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