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AI 인사이트

RnDcircle AI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정보

※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연구 분야

기술 도입 효과 및 상용화 단계

경제적/시장 적용 및 기대 효과

1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 (Flexible/Stretchable OLED, µLED)
  • 핵심 기술: 나노 메쉬 기반 신축성(Stretchable) 투명전극, 고이동도 수직 박막 트랜지스터(V-TFT), 고효율 유연 OLED 소자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LG디스플레이 등과 협력)
  • 상용화 단계: 원천 기술 확보 및 시제품 제작 단계에 있으며, 특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 기술은 즉각적인 상용화 연계가 가능합니다.
  • 응용 분야: 폴더블/롤러블 스마트 기기, 차량용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기기, AR/VR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에 적용 가능합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의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고, 고부가가치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습니다. 특히 웨어러블 및 메타버스 시장 성장에 따른 수혜가 예상됩니다.

2
고성능·초저전력 메모리 반도체 (PRAM, Memristor)
  • 핵심 기술: 초격자(Super-lattice) 구조 PRAM, 헤테로 구조 멤리스터 등 기존 메모리의 성능 한계를 돌파하는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기술을 연구합니다. (삼성전자 등과 협력)
  • 상용화 단계: AI 반도체 및 초저전력 기기용 핵심 메모리 소자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대기업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 응용 분야: 데이터센터용 고속·저전력 메모리, 뉴로모픽 컴퓨팅 칩, 모바일 기기용 통합 메모리 솔루션에 적용됩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연산 및 데이터 처리 시장에서 전력 효율을 극대화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수조 원 규모의 차세대 메모리 시장 선점이 기대됩니다.

3
고효율 광소자 및 핵심 소재 (LED, 투명전극)
  • 핵심 기술: 나노 광학 기반 고효율 LED, Deep-UV LED, 그래핀/나노와이어 기반 투명전극 등 광전소자의 성능을 좌우하는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상용화 단계: 다수의 정부 과제 및 기업 과제를 통해 기술의 신뢰성과 양산 가능성을 확보했으며, 기술 이전 및 라이선싱에 용이합니다.
  • 응용 분야: 고효율 조명, UV 살균/정화 시스템, 가시광 통신(Li-Fi), 각종 센서 및 광학 부품에 활용됩니다.

에너지 효율 규제 강화 및 감염병 예방에 따른 UV 살균 시장 확대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핵심 소재 기술 국산화를 통해 공급망 안정화 및 원가 경쟁력 확보가 가능합니다.

완료된 프로젝트

80

1

AI 멤리스터 기반 커패시터 프리 초저전력·고집적 디스플레이 개발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25년 03월 - 2025년 11월

커패시터 프리

멤리스터

AI 학습

초저전력

고집적

2

[IRIS]열 확산 제어를 통한 헤테로 구조 기반의 초저전력, 고성능 상변화 메모리/멤리스터 소자 개발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2024년 02월 - 2024년 11월

상변화 메모리

헤테로 구조

열 확산 제어

멤리스터

어레이/아키텍쳐

3

유리투명전극 기반 고효율 광전소자 연구

고려대학교

2024년 02월 - 2025년 01월

유리투명전극

자외선 발광다이오드

에너지 밴드갭

전기장

일함수

페르미 레벨

결함전도성 필라멘트

발광 다이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