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차세대 반도체 연구실

고려대학교 차세대 반도체 연구실

김태근 교수

반도체 메모리 소자 (Advanced Memory devices)

뉴로모픽 소자 (Neuromorphic Devices)

태양광 발전 소자 (Photovoltaics / PVs)

2D/산화물 TFT (2D/Oxide Thin-Film Transistors)

ReRAM (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프로젝트 공고 바로가기

차세대 반도체 연구실

차세대 반도체 연구실 김태근

고려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김태근 교수님의 Advanced Semiconductor Laboratory(ASL)는 차세대 전자·광학 소자 개발을 위한 첨단 반도체 소재 및 소자 연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비휘발성 메모리(PRAM, ReRAM, 뉴로모픽 소자), 2차원/산화물 기반 TFT, 마이크로/딥UV LED, 플렉서블 OLED, 페로브스카이트 LED 및 태양전지(PV)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성능, 고효율 소자 설계를 위한 심화 연구를 진행 중이며, 최근에는 머신러닝 기반 유기 태양전지 성능 최적화, 초투명 유연 전극, 청색 TADF OLED 등 혁신적 광전자 소자 개발 성과를 국내외에 발표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김태근 교수는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KAIST, UCSD, 일본 ETL, 삼성종합기술원 등에서 연구 경력을 쌓았으며, 360편 이상의 SCI 논문, 200건 이상의 특허, 50여 개의 국내외 수상 실적을 통해 반도체 소자 분야의 권위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학문적 성과뿐만 아니라 학생 중심의 협업 문화와 인성 교육, 다양한 팀 활동을 통해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 인재 양성을 지향합니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 (Advanced Memory devices)
뉴로모픽 소자 (Neuromorphic Devices)
태양광 발전 소자 (Photovoltaics / PVs)
2D/산화물 TFT (2D/Oxide Thin-Film Transistors)
ReRAM (Resistive Random‑Access Memory)
PRAM (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페로브스카이트 LED (Perovskite LEDs)
유연/스트레처블 OLED (Flexible/Stretchable OLEDs)
Micro/Deep-UV LED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에너지 통합 시스템 (Display & Energy Device Systems)
CMOS 기반 ROIC & 회로 설계 (ROIC IC design for displays; CMOS IC)
연구실 하이라이트
연구실의 정보를 AI가 요약해서 키워드 중심으로 정리해두었어요
기업협력
삼성/LG가 신뢰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메모리 기술 파트너
AI 요약 확인하기
독창적기술
메모리 융합 초저전력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AI 요약 확인하기
독보적성과
100% 신축성을 구현한 고효율 플렉서블 OLED
AI 요약 확인하기
핵심소재
초저전력·고신뢰성 상변화 메모리(PRAM) 헤테로 구조
AI 요약 확인하기
미래기술
뇌신경 모방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AI 요약 확인하기
연구역량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과 성과
AI 요약 확인하기
맞춤형 인사이트 리포트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연구 트렌드부터 공동 연구 방향성 기획까지
연구실과 같이 할 수 있는게 무엇인지,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무료 리포트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