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트라이볼로지(윤활 및 마멸) 기반 선박 엔진 부품의 성능 향상

트라이볼로지는 마찰, 마모, 윤활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기계 시스템의 효율성과 내구성 향상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정구현 연구실은 특히 선박 엔진의 피스톤 링, 실린더 라이너, 피스톤 핀 등 주요 부품의 마찰 및 마모 특성을 정밀하게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 연료 및 고효율 엔진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실험실에서는 다양한 트라이보테스터와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실제 운전 조건에서의 마찰 계수, 마모량, 윤활 특성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메탄올, 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 엔진 부품의 트라이볼로지 특성 변화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탄올 첨가에 따른 Ni 기반 합금의 마찰 및 마모 특성 변화, CoCrW 및 CoCrMo 합금의 고온 트라이볼로지 특성 평가, DLC 코팅을 적용한 피스톤 핀의 초기 마모 및 윤활 해석 등 다양한 소재와 코팅 기술을 접목하여 부품의 내마모성과 효율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선박 엔진의 연비 개선, 유지보수 비용 절감, 환경 규제 대응 등 실질적인 산업적 파급효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정구현 연구실의 트라이볼로지 연구는 실험적 접근뿐만 아니라 수치해석 및 시뮬레이션을 병행하여, 마모 메커니즘의 근본적 이해와 최적 설계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친환경 선박 엔진 부품의 신뢰성 향상과 더불어, 미래형 친환경 선박 기술 발전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나노 및 2차원 소재의 마찰·마모 특성 및 응용

정구현 연구실은 그래핀, h-BN, MoS2, 2D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등 다양한 2차원 나노소재의 마찰 및 마모 특성을 원자현미경(AFM) 기반의 정밀 측정기술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들 소재는 초저마찰, 고내구성, 우수한 기계적 특성 등으로 인해 차세대 전자소자, 웨어러블 센서, 에너지 저장장치, 마이크로/나노 기계시스템(MEMS/NEMS)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소재의 두께, 표면 거칠기, 분자 구조, 환경 조건(습도, 온도 등)에 따른 마찰 계수 및 마모 거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소재의 실질적 응용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특히, 원자층 두께의 소재에서 나타나는 초윤활(superlubricity) 현상, 계면 결합력, 표면 손상 메커니즘 등 근본적인 트라이볼로지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호 코팅, 고성능 윤활제, 내마모 부품 등 실용적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일층 MoS2, 그래핀, h-BN의 마찰 및 마모 특성 비교, 레이저 가공에 의한 MoS2 표면 특성 변화, 1D-2D 하이브리드 나노구조 표면의 초저마찰 특성 연구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나노스케일에서의 마찰 및 마모 현상에 대한 근본적 이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세대 반도체, 에너지, 바이오, 정밀기계 산업 등 다양한 첨단 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신뢰성, 고내구성 소재 및 부품 개발에 중요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또한, 실험과 시뮬레이션을 융합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소재 설계 및 응용기술의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