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김준성 연구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김준성 교수

김준성 연구실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김준성

김준성 연구실은 재활의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로, 뇌졸중, 신경계 질환, 근골격계 질환 등 다양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폭넓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뇌졸중 환자의 운동, 언어, 연하, 인지 기능 등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에 대한 평가와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신경영상기법과 임상 데이터를 결합한 다각적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재활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졸중 환자의 경직, 연하장애, 언어장애, 보행장애 등 주요 합병증의 발생 기전과 예후 인자를 규명하고, 효과적인 재활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확산텐서영상(DTI) 등 첨단 신경영상기법을 활용하여 신경 경로의 구조적 변화와 기능적 회복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평가 도구와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아 및 성인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소아 뇌성마비, 척추측만증, 골다공증, 근골격계 통증 등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평가법과 치료법을 개발하고, 초음파 유도하 주사치료, 물리치료, 운동처방, 신경차단술 등 다양한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기능 회복과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학제적 접근을 바탕으로 임상 연구,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대규모 관찰 연구, 증례 연구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회 및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활의학 분야의 표준화된 평가 및 치료 프로토콜 개발, 임상 현장 적용, 정책 제안 등 실질적인 임상적·학문적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환자 개개인에 맞춘 맞춤형 재활치료의 실현과 재활의학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준성 연구실은 환자 중심의 재활의학 연구를 통해,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 그리고 사회 복귀를 위한 혁신적인 치료법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뇌졸중 및 신경계 질환 환자의 재활의학적 접근
본 연구실은 뇌졸중 및 다양한 신경계 질환 환자들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재활의학적 접근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운동 기능, 언어 기능, 연하 기능 등 다양한 신경학적 장애에 대한 임상적 평가와 치료 전략을 개발하며, 뇌 병변의 위치와 회복 경로, 예후 인자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확산텐서영상(DTI) 등 첨단 신경영상 기법을 활용하여 신경 경로의 구조적 변화와 기능적 회복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재활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뇌졸중 이후 발생하는 경직, 연하장애, 언어장애, 보행장애 등 다양한 합병증에 대한 임상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재활 치료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지 및 하지의 경직 발생 시기와 관련 뇌 병변의 위치, 언어장애의 장기적 회복 양상, 연하장애의 평가 및 치료법 개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규모 환자 데이터를 활용한 관찰 연구,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 증례 연구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환자의 기능적 회복을 극대화하고, 재활 치료의 효율성을 높이며, 장기적인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임상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평가 도구와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국내외 재활의학 분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소아 및 성인 근골격계 질환과 재활치료
연구실은 소아 및 성인에서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과 그에 따른 재활치료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소아 뇌성마비, 척수손상, 근골격계 기형, 척추측만증, 사경, 골다공증 등 다양한 질환을 대상으로 기능 평가, 치료 효과 분석, 예후 인자 규명 등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소아 뇌성마비 환자의 연하장애, 운동기능 발달, 자세 및 보행 평가, 근육 경직 치료 등에서 표준화된 평가 도구와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성인 환자에서는 근골격계 통증, 신경병증, 관절 질환, 골다공증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초음파 유도하 주사치료, 물리치료, 운동처방, 보톡스 주사, 신경차단술 등 다양한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분석하며, 환자 맞춤형 재활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근골격계 질환 환자의 삶의 질, 신체 기능, 사회적 참여 등 다차원적 결과 지표를 활용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소아 및 성인 근골격계 질환 환자들의 기능 회복과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임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가 및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재활의학 분야의 임상적·학문적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Isolated Acute Dysphagia as a Probable Rare Presentation of Guillain?Barre Syndrome with Complete Recovery: A Case Report
이수호, 정지윤, 윤미정, 김준성, 홍보영, 임선, 유연지
GERIATRICS, 202408
2
Structural Integrity of the Cerebellar Outflow Tract Predicts Long-Term Motor Function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Ischemic Stroke
임하니, 유연지, 임성훈, 김영국, 김준성, 홍보영, 윤미정, 박근영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2308
3
Changes i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Unilateral Weight Bearing and Abnormal Postural Gait in Healthy Individuals
신보경, 강정중, 윤미정, 유연지, 홍보영, 임성훈, 김준성, 백승우, 정지윤, 임한이, 이경보
MEDICINA(KAUNAS, LITHUANIA), 202212
1
장애인의 조기사회복귀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재활사업 중심의 커뮤니티케어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2018년 10월 ~ 2018년 11월
2
동통장해 평가기준 및 평가방법 연구
노동부
2009년 03월 ~ 2009년 07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