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철 연구실
수의과 최경철
최경철 연구실은 내분비교란물질, 환경독성물질, 항암제 등 다양한 화학물질이 인체 및 동물의 건강, 특히 암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융합형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폐암, 간암, 췌장암 등 다양한 암종을 대상으로 내분비교란물질의 분자생물학적 작용기전, 암세포의 성장·분화·전이·항암제 내성에 미치는 영향, 암 줄기세포 특성, EMT(상피-중간엽 전이) 및 암 미세환경 변화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 조작 줄기세포를 이용한 항암 유전자 치료, 면역치료, 암 표적화 치료 등 차세대 정밀의료 전략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신경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 양막유래 줄기세포 등 다양한 줄기세포에 항암 유전자 및 면역조절 유전자를 도입하여, 암 조직에 특이적으로 이동하고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혁신적 치료법을 동물모델 및 반려동물 중개의학 모델에서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암제 내성 극복, 암 미세환경 조절, 암 줄기세포 표적화 등 다각적 치료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중개의학을 활용한 정밀의료 플랫폼 구축도 연구실의 핵심 분야입니다. 반려동물(개, 고양이)의 암 및 질환을 인간 질환의 전임상 모델로 활용하여 신약 및 바이오마커 개발, 진단·치료법 검증, 독성평가 등 중개의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RNA-seq 등 첨단 오믹스 기술과 AI 기반 분석을 접목하여 반려동물과 인간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맞춤형 의료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심혈관계, 생식계, 면역계 등 다양한 장기 및 조직에서의 독성평가, 바이오마커 발굴, 신약후보물질의 효능 및 안전성 평가 등 폭넓은 융합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환경부 등과의 협력연구를 통해 국가 독성평가 가이드라인 및 표준평가법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경철 연구실은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동물실험, 중개의학, 오믹스, AI 분석 등 다양한 첨단 연구기법을 융합하여, 암 및 환경독성 분야의 세계적 연구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예방 및 치료, 환경보건, 반려동물 및 인간 건강 증진, 신약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T-Cell Mediated Immunotherapy
Mitochondrial Dysfunction
Antitumor Therapy
내분비교란물질과 암 발생 및 진행 연구
최경철 연구실은 내분비교란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이 암의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농약, 환경호르몬, 산업화학물질 등이 인체 및 동물의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특히 이들 물질이 유방암, 난소암, 전립선암, 간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어떻게 세포 성장, 분화, 전이, 항암제 내성 등에 관여하는지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합니다.
연구실은 인간 및 동물 세포주, 동물모델, 그리고 최근에는 반려동물 중개의학 모델을 활용하여 내분비교란물질이 암세포의 에피게놈, 세포주기, 세포사멸, EMT(상피-중간엽 전이), 암 줄기세포 특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RNA-seq, 단백질체 분석, 면역조직화학 등 첨단 오믹스 및 분자진단 기술을 접목하여 내분비교란물질 노출에 따른 바이오마커 및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오염 및 식품, 생활용품에 포함된 내분비교란물질의 인체 건강 위험성을 평가하고, 암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내분비교란물질의 독성평가 및 규제정책 수립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및 유전자 치료 기반 항암 전략 개발
본 연구실은 유전자 조작 줄기세포를 이용한 혁신적 항암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신경줄기세포, 중간엽줄기세포, 양막유래 줄기세포 등 다양한 줄기세포에 항암 유전자(예: cytosine deaminase, interferon-β 등)를 도입하여, 이들이 암 조직에 특이적으로 이동(tumor tropism)하고, 암세포에서만 선택적으로 항암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치료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줄기세포 기반 유전자 치료는 기존 항암제의 한계(비특이적 독성, 내성, 전이 등)를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정밀의료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암종(유방암, 난소암, 췌장암, 간암, 폐암 등)에서 줄기세포의 종양 선택적 이동성, 치료 유전자 발현, 항암효과, 면역반응 유도능 등을 세포실험, 동물모델, 반려동물 중개의학 모델에서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항암 유전자와 면역치료제(예: TGF-β2 antisense oligonucleotide, IL-2 등) 병용, 암 줄기세포 표적화, 항암제 내성 극복, 암 미세환경 조절 등 다각적 치료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미래형 맞춤형 항암치료 및 중개의학적 임상 적용에 중요한 토대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중개의학 및 정밀의료 플랫폼 구축
최경철 연구실은 반려동물 중개의학을 활용한 정밀의료 플랫폼 구축에도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특히 개, 고양이)의 암 및 다양한 질환을 인간 질환의 전임상 모델로 활용하여, 신약 및 바이오마커 개발, 진단·치료법 검증, 독성평가 등 중개의학 연구를 수행합니다.
RNA-seq 등 차세대 시퀀싱 기술을 적용하여 반려동물 암의 유전적, 분자적 특성을 분석하고, 인간 암과의 유사성 및 차별성을 규명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반려동물 암에서 유효한 치료제, 바이오마커, 진단법을 개발하고, 실제 임상에 적용 가능한 정밀의료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또한, 반려동물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AI 기반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 등 첨단 융합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반려동물의 건강 증진은 물론, 인간 암 연구의 전임상 모델로서의 가치를 높이고, 신약개발 및 정밀의료 실현에 중요한 교량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반려동물과 인간 모두에게 적용 가능한 혁신적 의료기술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Downregul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2 enhances the chemosensitivity to gemcitabine with diminished metastasis in pancreatic cancers
최경철, 안도희, 이홍규, 배상혁, 나화영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202507
2
Phytochemicals as Novel Therapeutics for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A Comprehensive Review of Current Knowledge
ZEESHAN AHMAD BHUTTA, 최경철
PHYTOTHERAPY RESEARCH, 202501
3
A Fungicide, Fludioxonil, Formed the Polyploid Giant Cancer Cells and Induced Metastasis and Stemness in MDA-MB-231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최경철, 고려은, 성수민, 최영동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408
1
(충청북도 대응)반려동물 중개의학을 이용한 정밀의료 플랫폼 구축(3/3)
2
반려동물 중개의학을 이용한 정밀의료 플랫폼 구축(3/3)
3
가열담배 배출물의 표적장기 영향 평가 및 독성평가법 개발(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