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Multi-Functional Materials & Devices Lab.

한양대학교 재료화학공학과

이선영 교수

Nanostructures

3D Printing

Photocatalysis

Multi-Functional Materials & Devices Lab.

재료화학공학과 이선영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차세대반도체융합공학부 및 재료화학공학과에 소속된 Multi-Functional Materials & Devices Lab.(MFMD)은 나노입자 적층 시스템(NPDS)과 3D 프린팅, 압출식 적층 제조 등 첨단 건식 공정 기술을 기반으로 차세대 기능성 소재 및 융합 소자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금속, 세라믹, 복합재료 등 다양한 분말을 상온에서 직접 적층하는 친환경·저비용·고효율의 건식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전기변색 소자, 스마트 윈도우, 스마트 미러, 컬러 시각화 가스 센서 등 혁신적 융합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 소자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NPDS를 이용한 WO3, V2O5, ATO, NiO 등 금속 산화물 기반 전기변색층 및 이온 저장층의 건식 적층, 표면 조도 및 미세구조 제어, 다중 모드(투명/블랙/미러/쿨/웜 등) 구현, 고체 및 젤 전해질 개발, 대면적 패턴화 기술 등 전기변색 소자의 성능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 IoT 센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과의 산학협력 및 기술이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TMDs), 그래핀, 탄소질화물 등 다양한 나노 소재의 합성 및 이종 구조체 설계, 표면 개질, 도핑, 코-촉매 도입 등 구조적/화학적 엔지니어링을 통해 광촉매 및 인공광합성 분야에서도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O2 광환원, 수소 발생, 유기오염물 분해 등 환경·에너지 융합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을 입증하고 있으며, 3D 프린팅 및 압출 기반 적층 제조와 융합하여 맞춤형 구조체 및 대면적·고효율 광촉매 시스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열전도성 재료(TIM), 전도성 잉크, 센서, 전극 등 다양한 전자소자 및 에너지 소자에 적용 가능한 나노 복합체 개발, 금속 및 세라믹 분말의 표면 개질, 산화 방지, 고분산성 확보 등 소재 원천기술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특허, SCI 논문, 산학협력 과제, 국제 학회 발표 등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MFMD 연구실은 나노입자 적층, 3D 프린팅, 나노 소재 합성, 광촉매/인공광합성, 전기변색/에너지 저장/센서/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미래 지능형 소재·소자 분야를 선도하며, 탄소중립, 에너지 절감, 환경 정화 등 글로벌 이슈 해결에 기여하는 혁신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Nanostructures
3D Printing
Photocatalysis
나노입자 적층 시스템(NPDS) 및 전기변색 소자 개발
본 연구실은 나노입자 적층 시스템(NPDS, Nano Particle Deposition System)을 활용한 혁신적인 박막 및 패턴 제조 기술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NPDS는 상온에서 금속, 세라믹, 복합재료 등 다양한 분말을 기판 위에 직접 적층할 수 있는 친환경적이며 고효율적인 건식 공정입니다. 이 기술은 기존의 습식 공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복잡한 공정, 높은 에너지 소모 문제를 극복할 수 있으며, 대면적, 저비용, 고속 생산이 가능합니다. 특히, NPDS를 이용한 전기변색 소자(Electrochromic Device, ECD) 개발에 집중하여, WO3, V2O5, ATO, NiO 등 다양한 금속 산화물 기반의 전기변색층과 이온 저장층을 건식으로 적층하여 고내구성, 고효율, 저전압 구동이 가능한 스마트 윈도우 및 스마트 미러 소자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기변색 소자는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영역에서 투과도와 반사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형 스마트 윈도우, 디스플레이, 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NPDS 공정의 미세구조 제어, 표면 조도 조절, 다중 모드(투명/블랙/미러/쿨/웜 등) 구현, 고체 및 젤 전해질 개발, 대면적 패턴화 기술 등 전기변색 소자의 성능과 신뢰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NPDS 기반의 AFN(Aerodynamically Focused Nanoparticle) 프린팅, 플래시 라이트 소결, 3D 프린팅 등과 융합하여 유연 전자소자, 컬러 시각화 가스 센서 등 차세대 융합 디스플레이 및 IoT 센서 플랫폼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특허, 다수의 SCI 논문, 산학협력 과제, 국제 학회 발표 등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원천기술로서의 파급력도 매우 큽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NPDS 및 건식 적층 기반의 전기변색, 에너지 저장, 센서,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융합 소자 개발을 통해 미래 지능형 소재·소자 분야를 선도할 계획입니다.
나노 소재 합성 및 광촉매/인공광합성 응용
본 연구실은 금속 및 금속 산화물, 전이금속 디칼코게나이드(TMDs), 그래핀, 탄소질화물(g-C3N4) 등 다양한 나노 소재의 합성과 이들의 이종 구조체(heterostructure) 설계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금속 나노입자(Cu, Ag 등)는 폴리올(polyol)법, 건식 증착, 유기 코팅 등 다양한 방법으로 산화 방지 및 표면 개질을 통해 고분산성, 고안정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래핀 및 다층 그래핀 코팅 기술을 개발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산화 방지, 열전도성 향상, 전자 이동성 증진 등 다양한 기능성 복합체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나노 소재들은 열전도성 재료(TIM), 전도성 잉크, 센서, 전극 등 다양한 전자소자 및 에너지 소자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나노 구조체를 기반으로 한 광촉매 및 인공광합성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TiO2, ZnO, Fe2O3, NiTiO3, MoS2, MoSe2, g-C3N4 등 다양한 나노 구조체(나노섬유, 나노로드, 나노월, 중공 나노섬유 등)를 합성하고, 이종 접합(heterojunction), 표면 결함, 도핑, 코-촉매 도입 등 구조적/화학적 엔지니어링을 통해 광흡수 범위 확장, 전하 분리 효율 향상, 촉매 활성점 증가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CO2 광환원(인공광합성), 수소 발생, 유기오염물 분해 등 환경·에너지 융합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3D 프린팅, 압출 기반 적층 제조, 건식 적층 등 첨단 공정과 나노 소재 합성 기술을 융합하여, 맞춤형 구조체 설계 및 대면적·고효율 광촉매 시스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후변화 대응, 탄소중립, 청정에너지 생산, 환경 정화 등 글로벌 이슈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원천기술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나노 소재 합성 및 광촉매/인공광합성 분야에서 혁신적인 융합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1
Fabrication of noble-metal-free copper-doped TiO2 nanofibers synergized with acetic acid-treated g-C3N4 nanosheets for enhanced photocatalytic hydrogen evolution
Haritham Khan, Hazina Charles, Caroline Sunyong Lee
Applied Surface Science, 2023
2
Evaluation of V2O5 Film-Based Electrochromic Device with Dry-Deposited Ion Storage Layer
Dongwon Shin, Jieson Kim, Caroline Sunyong Lee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2023
3
High Optical Contrast of Quartet Dual-Band Electrochromic Device for Energy-Efficient Smart Window
Jiseon Kim, Dongwon Shin, Minhee Son, Caroline Sunyong Lee
ACS Applied Materials and Interfaces, 2023
1
전기변색 기반 저전압 구동 NOx 가스 컬러 시각화 센싱 시스템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Y)
2023년 03월 ~ 2024년 02월
2
블랙/미러 구현이 가능한 태양열 제어 스마트 유리에 대한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Y)
2022년 12월 ~ 2023년 11월
3
다층 PCB용 대면적 thin film type 커패시턴스 수입대체 소재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17Y)
2021년 09월 ~ 2022년 0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