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장한뜻 연구실

인천대학교 기계공학과

장한뜻 교수

Human-Robot Interaction

Exoskeleton Robots

Wearable Robotics

장한뜻 연구실

기계공학과 장한뜻

장한뜻 연구실은 기계공학과를 기반으로 로봇공학 및 로보틱스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목표는 인간과 로봇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실현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고밀도 토크 구동기, 가변 강성 구동기, 생체 신호 기반 제어 등 다양한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새로운 로봇 시스템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착용형 로봇 및 재활 보조기기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제 환자와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공압 액추에이터, 미니어처 압축기, 표면 근전위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고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 적용과 산업 현장 실용화로 이어지고 있어, 사회적 파급 효과가 매우 큽니다. 연구실은 또한 유연 구조 및 환경 적응형 로봇 시스템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스네이크형 로봇, 입자 흐름 기반 인플레이터블 로봇, 상변화 소재를 활용한 가변 강성 메커니즘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을 연구하여, 복잡한 환경에서의 이동성과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소방임무, 재난 구조, 산업 자동화 등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연구실은 분말야금법을 이용한 고강도 기어 제조, 로봇 자동화 공정 개발, 딥러닝 기반 건설구조물 손상 추정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융합 연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적인 연구 활동은 로봇공학의 이론적 발전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산업 및 의료 현장 혁신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장한뜻 연구실은 앞으로도 로봇공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를 지속하며, 인간과 로봇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미래 사회 구현에 앞장설 것입니다. 첨단 기술 개발과 실용화, 그리고 융합적 연구를 통해 글로벌 로봇공학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Human-Robot Interaction
Exoskeleton Robots
Wearable Robotics
고밀도 토크 구동기 및 가변 강성 구동기 개발
장한뜻 연구실은 고밀도 토크 구동기와 가변 강성 구동기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고밀도 토크 구동기는 로봇의 동작 효율성과 정밀도를 극대화하기 위한 핵심 부품으로, 특히 착용형 로봇이나 인간-로봇 상호작용이 중요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은 고포화자화 블록 분말 기반의 자성 소재와 QDD(Quasi-Direct Drive) 모터 모듈 개발을 통해 기존 구동기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높은 토크와 효율을 제공하는 신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가변 강성 구동기는 로봇이 다양한 환경과 작업 조건에서 유연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연구실은 근육의 교차 브리지 메커니즘에서 영감을 받은 가변 강성 액추에이터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피드포워드 운동 제어 기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인간과 로봇이 안전하게 물리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며, 재활 로봇이나 협동 로봇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IEEE Transactions on Robotics, Actuators 등 국제 저명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었으며, 실제 착용형 로봇 개발 프로젝트와 연계되어 실용화 단계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구동기 기술의 혁신을 통해 로봇공학 분야의 발전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착용형 로봇 및 재활 보조기기 개발
연구실은 부분적 절단 환자나 하지 근력 저하 환자를 위한 착용형 로봇 및 재활 보조기기 개발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압 액추에이터를 이용한 손가락 의수, 미니어처 압축기를 장착한 공압식 AFO(발목-발 보조기) 등 다양한 웨어러블 로봇 솔루션을 개발하여 실제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생체 신호(표면 근전위 등)를 정밀하게 측정하고 해석하는 인터페이스 기술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는 맞춤형 보조기기 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특히, 고정밀 표면 근전위 인터페이스와 고밀도 토크 구동기를 결합한 하지 근력 보조 착용형 로봇 개발 프로젝트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생체 신호 기반 제어, 인체공학적 설계, 경량화 및 소형화 기술 등 다양한 융합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는 IEEE Transactions on Neural Systems and Rehabilitation Engineering, 한국정밀공학회지 등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 발표되었으며, 향후 재활 의료기기 산업 및 헬스케어 로봇 분야에서의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됩니다.
유연 구조 및 환경 적응형 로봇 시스템
장한뜻 연구실은 유연 구조와 환경 적응형 로봇 시스템 개발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스네이크형 유연 로봇, 입자 흐름 기반 인플레이터블 로봇 바디, 상변화 소재 및 온도 제어 시스템을 활용한 가변 강성 메커니즘 등 다양한 형태의 로봇 구조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복잡한 환경에서의 이동성, 장애물 극복, 다양한 작업 수행 능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특히, 소방임무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의 로봇 활용을 위해 내열성 강화 스킨, 다기능 그리퍼, 로봇팔 부착형 드론 플랫폼 등 특수 목적의 로봇 시스템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는 실제 현장에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재난 구조, 산업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연구실은 이러한 유연 구조 및 환경 적응형 로봇 시스템 개발을 통해, 기존의 경직된 로봇 시스템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미래 지능형 로봇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로봇의 실용성과 적용 범위를 지속적으로 확장해 나갈 계획입니다.
1
Enhanced Speed Characteristics of High Torque Density BLDC Motor for Robot Applications Using POEW (Parallel Open-End Winding) Configuration
장한뜻
Actuators, 2025
2
Improving Speed Characteristics of High Torque Density Motors for Physical Human-Robot Interaction using Independent 3-Phase Winding Structure
장한뜻
Actuators, 2024
3
Development of Wearable Finger Prosthesis with Pneumatic Actuator for Patients with Partial Amputations
장한뜻
Actuators, 2023
1
고밀도 토크 구동기와 고정밀 표면 근전위 인터페이스 기반 하지 근력 보조 착용형 로봇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분말야금법에 의한 고강도기어 제조를 위한 합금 분말과 고밀도성형금형의 국부가열메카니즘 개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3년 05월 ~ 2024년 04월
3
안전 진단용, 건설구조물의 열화상 복합형 카메라 및 딥러닝 기반 손상 추정 소프트웨어 개발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2022년 06월 ~ 2023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