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AI 인사이트

RnDcircle AI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정보

※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연구 분야

기술 도입 효과 및 상용화 단계

경제적/시장 적용 및 기대 효과

1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센서
  • 고해상도(300ppi급) 무기발광 신축성 디스플레이 원천 소재 및 공정 기술 확보
  • 적층형 생체신호 센서와 디스플레이를 융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 개발
  • 인쇄 공정 기반 대면적 포토트랜지스터 어레이 기술로 고감도, 고신뢰성 센서 상용화 추진

자유형상(Free-form) 디스플레이 및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장의 기술 우위를 선점하고, 차세대 스마트 기기, 의료,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시장에 진출하여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됩니다.

2
웨어러블/소프트 일렉트로닉스 플랫폼
  • 기계적 메타물질 구조를 적용하여 2축으로 제어 가능한 고신축성 기판 기술 개발
  • 30% 이상 신축성을 가지면서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는 고유 신축 전극 소재 개발
  • 4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조건에서 형상이 변하는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플랫폼 구축

적층 제조(3D/4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복잡한 전자 부품의 생산을 간소화하고, 경량화된 고성능 제품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공급망 유연성을 확보하고 제조 공정을 혁신하여 스마트 웨어러블, IoT 기기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첨단 소재 및 에너지 솔루션
  • 인쇄 공정 기반 확산 도핑 기술로 대면적 2차원 반도체(TMDs)의 전기적 특성 제어
  • 에너지 준위 조절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반도체 소재를 통한 열 제어 기술 최적화
  • 고효율 유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및 차세대 유연 열전소자 기술 개발

차세대 반도체 소재 국산화 및 공정 기술 확보를 통해 반도체 산업의 안정성을 높이고, 고효율 유연 에너지 소자 기술은 휴대용 전자기기 및 독립형(Off-grid) 전원 시장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완료된 프로젝트

25

21

셀프 감응 소재를 이용한 자가 보고형 고감도 충격 레포트 시스템 개발

2019년 - 2019년 12월

22

그린에너지-시스템 분야 융복합 기술 과제 기획 연구

2018년 - 2018년 12월

23

고신뢰 웨어러블 일렉트로닉스 구현을 위한 신축성 플랫폼 개발에 대한 연구

2017년 12월 - 2018년 11월

24

폴리케톤 EP 복합소재 개발

2017년 04월 - 2018년 03월

25

차세대 유연열전소자 기술 개발

2017년 - 2017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