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반도체 산화물 및 나노구조체 기반 센서 및 소자 개발
허영우 연구실은 반도체 산화물 및 다양한 나노구조체를 활용한 고성능 센서 및 전자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ZnO, SnO2, CuO, In2O3 등 다양한 산화물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가스 센서, 광센서,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소자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들 산화물 반도체는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높은 감도와 선택성을 제공하며, 실온 동작이 가능한 센서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나노와이어, 나노입자, 박막 등 다양한 형태의 나노구조체 합성 및 특성 분석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종접합(Heterostructure) 나노와이어, 다중 도핑 및 표면 개질을 통한 센서 성능 향상, 그리고 대면적 공정 기술 개발까지 폭넓게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상온에서 작동하는 NO2, H2S 등 유해가스 검출 센서, 자외선 및 적외선 광센서, 바이오마커 검출용 센서 등 실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소자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 모니터링, 산업 안전, 스마트 헬스케어, IoT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과의 협력 및 기술 이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차세대 센서 및 소자 기술의 선도적 개발을 통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관련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 나갈 계획입니다.
2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 소자용 반도체 재료 및 공정 기술
본 연구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에너지 소자에 적용 가능한 반도체 재료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투명전극, 박막트랜지스터(TFT) 등 첨단 소자에 적합한 산화물 반도체 및 하이브리드 재료의 합성, 박막 증착, 도핑 및 계면 제어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효율, 고신뢰성, 대면적 공정이 가능한 소재 및 소자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In, Zn, Sn, Cu, Mn, Co 등 다양한 금속 산화물의 조성 및 결정구조 제어, 이종접합 및 다중 도핑을 통한 전기적·광학적 특성 향상, 그리고 저온 공정 및 친환경 공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용 소재, 투명 및 유연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TFT, Pb-free(무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 미래 친환경 에너지 및 디스플레이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산업화 및 상용화에 직결될 수 있도록, 대면적 증착, 인쇄공정, 롤투롤 공정 등 다양한 제조기술과 연계하여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기술의 실용화와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첨단 반도체 재료 및 소자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연구성과를 창출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