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허영우 연구실

경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허영우 교수

Solid Oxide Fuel Cell Materials

Quantum Dot Display Materials

Oxide TFT Materials

허영우 연구실

신소재공학과 허영우

허영우 연구실은 반도체 산화물 및 나노구조체를 기반으로 한 첨단 소재와 소자 개발에 특화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ZnO, SnO2, CuO, In2O3 등 다양한 산화물 반도체와 이종접합 나노와이어, 다중 도핑 기술을 활용하여 고감도, 고선택성의 가스 센서, 광센서,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온 동작이 가능한 센서 및 환경·헬스케어용 스마트 센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 소자용 반도체 재료 및 공정 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투명전극, 박막트랜지스터(TFT) 등 첨단 소자에 적용 가능한 산화물 반도체 및 하이브리드 재료의 합성, 박막 증착, 도핑 및 계면 제어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효율, 고신뢰성, 대면적 공정이 가능한 소재 및 소자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용 소재, 투명 및 유연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TFT, Pb-free(무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 미래 친환경 에너지 및 디스플레이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면적 증착, 인쇄공정, 롤투롤 공정 등 다양한 제조기술과 연계하여 실제 산업화 및 상용화에 직결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과제 수행을 통해 산학연 협력과 기술 이전,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다수의 특허와 논문, 수상 경력을 바탕으로 국내외 반도체 및 소재 분야에서 높은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으며, 미래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갈 핵심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허영우 연구실은 반도체 소재 및 소자 분야의 첨단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관련 산업의 발전과 기술 혁신에 기여할 것입니다.

Solid Oxide Fuel Cell Materials
Quantum Dot Display Materials
Oxide TFT Materials
반도체 산화물 및 나노구조체 기반 센서 및 소자 개발
허영우 연구실은 반도체 산화물 및 다양한 나노구조체를 활용한 고성능 센서 및 전자소자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ZnO, SnO2, CuO, In2O3 등 다양한 산화물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가스 센서, 광센서,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소자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들 산화물 반도체는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높은 감도와 선택성을 제공하며, 실온 동작이 가능한 센서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나노와이어, 나노입자, 박막 등 다양한 형태의 나노구조체 합성 및 특성 분석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종접합(Heterostructure) 나노와이어, 다중 도핑 및 표면 개질을 통한 센서 성능 향상, 그리고 대면적 공정 기술 개발까지 폭넓게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상온에서 작동하는 NO2, H2S 등 유해가스 검출 센서, 자외선 및 적외선 광센서, 바이오마커 검출용 센서 등 실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소자 개발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 모니터링, 산업 안전, 스마트 헬스케어, IoT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산업 현장과의 협력 및 기술 이전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차세대 센서 및 소자 기술의 선도적 개발을 통해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관련 산업의 혁신을 이끌어 나갈 계획입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및 에너지 소자용 반도체 재료 및 공정 기술
본 연구실은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에너지 소자에 적용 가능한 반도체 재료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양자점 발광 다이오드(QLED), 투명전극, 박막트랜지스터(TFT) 등 첨단 소자에 적합한 산화물 반도체 및 하이브리드 재료의 합성, 박막 증착, 도핑 및 계면 제어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효율, 고신뢰성, 대면적 공정이 가능한 소재 및 소자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In, Zn, Sn, Cu, Mn, Co 등 다양한 금속 산화물의 조성 및 결정구조 제어, 이종접합 및 다중 도핑을 통한 전기적·광학적 특성 향상, 그리고 저온 공정 및 친환경 공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용 소재, 투명 및 유연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TFT, Pb-free(무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등 미래 친환경 에너지 및 디스플레이 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산업화 및 상용화에 직결될 수 있도록, 대면적 증착, 인쇄공정, 롤투롤 공정 등 다양한 제조기술과 연계하여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외 산학연 협력 및 정부 과제 수행을 통해 기술의 실용화와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첨단 반도체 재료 및 소자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연구성과를 창출할 것입니다.
1
H2S gas sensing properties of ZnO-SnO2 branch-stem nanowires grown on a copper foil
허영우
SCRIPTA MATERIALIA, 202501
2
Effect of magnesium doping on NiO hole injection layer in 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허영우
NANOPHOTONICS, 202412
3
Droplet-based triboelectric devices using liquid dielectrics for self-powered sensing applications
허영우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202410
1
미래 모빌리티용 시스템반도체 혁신인재 교육연구단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반도체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8세대급 대면적 증착이 가능한 이동도 30cm2Vs 이상의 Ga free 산화물 TFT 소재 개발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