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AI 인사이트

RnDcircle AI가 제공하는 사용자 맞춤 정보

※ 사용자 모드를 변경하여 맞춤형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연구 분야

기술 도입 효과 및 상용화 단계

경제적/시장 적용 및 기대 효과

1
미래 모빌리티용 첨단 소재 솔루션 (EV 배터리 방열, VTG 부품)
  • MgO 기반 고열전도성 방열 필러 및 TIM 개발로 EV 배터리 열효율 및 안정성 증대.
  • 내마모성/용접성 향상 이종 금속소재 적용 VTG용 Adjusting Pin 개발로 터보차저 부품 내구성 강화.
  • 주관기관 ((주)세라트랙 등) 및 수요기업(강남제비스코)과 협력하여 상용화 추진 중.

전 세계 EV 배터리 열계면소재(TIM) 시장은 2023년 약 12억 달러에서 2032년 약 48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6.5% 성장 전망. 본 연구실의 고열전도성 소재는 시장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입니다.

2
고성능 세라믹 및 전자부품 제조 기술 (세라믹 접합, 3D 프린팅, SiC)
  • 세라믹 무결합재 접합 기술로 복잡 형상 부품 제조 비용 절감 및 공정 단순화.
  • 3D 잉크젯 프린팅 기반 맞춤형 적층형 세라믹 전자부품(코일형 인덕터 등) 생산 기술 확보.
  • SiC 기반 고경도 경량 방탄 세라믹 소재 개발로 국방 및 첨단 산업 응용.

첨단 세라믹 및 전자부품 시장에서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며, 특히 MgO 나노분말은 전자부품의 열 관리 및 절연 특성을 향상시켜 효율 증대에 기여합니다. 소재 국산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됩니다.

3
산업 맞춤형 소재 공정 최적화 및 인재양성 (과립화, MIM, 산학협력)
  • 과립화 슬러리 고형분 증진 기술로 세라믹/금속 분말 생산성 향상 및 원가 절감.
  • MIM용 미세금속분말 과립화 공정 최적화로 정밀 금속 부품 제조 기술 고도화.
  • 공학교육혁신센터 운영을 통해 산업 수요 맞춤형 신소재 분야 전문 인력 양성.

국내 소재 산업의 제조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며, 중소기업 기술 지원 및 기술이전을 통한 동반 성장을 추구합니다. 활발한 산학협력은 연구 성과의 신속한 산업 적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완료된 프로젝트

16

11

세라믹-세라믹 무결합재 접합을 통한 복잡형상 세라믹 단일체 부품 제조공정 기술 개발

한국연구재단

2012년 - 2015년

12

첨단섬유 방사 공정용 다기능 세라믹 소재 개발

한국산학연협회

2012년 - 2014년

13

공학교육혁신센터지원사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07년 - 2012년

14

물질의 용융과정에서 고체표면의 역할에 대한 계산과학적 고찰

한국학술진흥재단

2003년 - 2005년

15

3차원 잉크젯 프린팅을 이용한 적층형 세라믹 전자부품 핵심기술개발

한국과학재단

2003년 - 2004년

16

고온 가압소결법을 이용한 나노입자구조 탄화물 소결체 제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03년 - 200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