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임민경 연구실

인하대학교 의예과

임민경 교수

임민경 연구실

의예과 임민경

임민경 연구실은 의예과를 기반으로 보건의료, 사회의학, 예방의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는 금연정책 및 흡연행태 연구, 건강행태와 만성질환·암 위험 연구, 그리고 환경 및 사회적 요인과 건강의 상관관계 분석입니다. 첫째, 연구실은 국가 금연지원서비스, 금연상담전화, 금연상담전문가 교육 등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는 금연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정책 개선 방안 도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흡연자의 행동 변화, 금연의도,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대규모 빅데이터와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체계적으로 분석하며, 신종담배 사용 실태, 담배 성분 규제, 금연정책의 사회적 수용성 등 정책적 이슈에 대한 근거도 마련하고 있습니다. 둘째, 흡연, 음주, 신체활동, 비만 등 주요 건강행태가 만성질환 및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건강행태 변화의 궤적과 질병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 건강행태와 사회경제적·심리사회적·환경적 요인의 복합적 작용 메커니즘을 밝히고, 취약계층의 건강 불평등 해소와 맞춤형 건강증진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셋째, 환경적·사회적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간접흡연 및 삼차흡연 노출, 환경오염물질과 암 위험, 사회적 결속력과 건강행태 및 건강 결과의 상관관계 등 다양한 환경·사회적 요인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건강위해 요인 관리와 건강 불평등 해소에 필요한 정책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임민경 연구실은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국민 건강증진과 만성질환 예방, 건강 불평등 해소, 근거기반 정책 수립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와의 협력, 정책 담당자 및 실무자 교육, 대국민 인식 개선 캠페인 등 다양한 실천적 활동도 병행하여, 연구성과의 사회적 확산과 현장 적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금연정책 및 흡연행태 연구
임민경 연구실은 국내외 흡연율 감소와 금연정책의 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가 금연지원서비스의 이용 경험과 금연 성공률, 금연상담전화(quitline) 운영, 금연상담전문가 교육 등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금연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방안 도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대규모 코호트 자료와 국민건강영양조사, 지역사회 건강조사 등 다양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흡연자의 행동 변화, 금연의도,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담배규제정책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영향과 금연정책의 수용성, 신종담배(전자담배, 가열담배 등) 사용 실태 및 인식 변화, 담배 성분 정보 공개와 규제의 필요성 등 정책적 이슈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금연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금연구역 확대, 담뱃값 인상, 경고그림 도입 등 다양한 정책 도구의 효과를 평가하고, 정책 수립 및 개선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흡연으로 인한 건강 불평등 해소와 사회적 약자(여성, 청소년, 저소득층 등) 대상 맞춤형 금연지원 방안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임민경 연구실은 금연정책의 현장 적용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사회와의 협력, 정책 담당자 및 실무자 교육, 대국민 인식 개선 캠페인 등 다양한 실천적 활동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흡연, 음주, 비만 등 건강행태와 만성질환·암 위험 연구
임민경 연구실은 흡연, 음주, 신체활동, 비만 등 주요 건강행태가 만성질환 및 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지역사회 코호트 자료와 국민건강영양조사, 건강보험 빅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건강행태 변화의 궤적(trajectory)과 암, 대사증후군, 심혈관질환 등 주요 질환의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흡연 및 음주 궤적에 따른 암 발생 위험, 신체활동 빈도 변화와 암 예방 효과, 체중 변화와 암 위험 등 다양한 건강행태의 장기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건강행태와 사회경제적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등), 환경적 요인(대기오염, 중금속 노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취약계층의 건강 불평등 해소와 맞춤형 건강증진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 청소년, 농촌지역 주민 등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한 세부 분석을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건강행태 개선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건강행태 변화의 예측모형 개발, 건강행태와 생물학적 표지자(바이오마커) 간의 연관성 탐색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국민 건강증진과 만성질환 예방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환경 및 사회적 요인과 건강: 담배연기, 환경오염, 사회적 결속력
임민경 연구실은 환경적·사회적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간접흡연 및 삼차흡연(Thirdhand Smoke) 노출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실내외 공기질(미세먼지, 니코틴 등)과 흡연 관련 질병 발생, 환경오염물질(중금속, 잔류유기오염물질 등) 노출과 암 위험 등 다양한 환경요인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PC방, 택시, 공공장소 등에서의 간접흡연 노출 실태와 정책적 미비점, 환경오염물질의 생체지표(소변, 혈액 등)와 암 발생 위험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를 다수 수행하였습니다. 또한, 사회적 결속력(social cohesion), 사회적 지지, 지역사회 환경이 건강행태(예: 백신 접종률, 금연 성공 등)와 건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코로나19 백신 접종률과 지역사회 신뢰 및 상호부조의 관계,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간접흡연 노출의 격차 등 사회적 요인과 건강 간의 상호작용을 다각도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경 및 사회적 요인에 기반한 건강위해 요인 관리, 건강 불평등 해소, 지역사회 기반 건강증진 정책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임민경 연구실은 환경 및 사회적 맥락을 고려한 다층적 건강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실질적 정책 개선과 국민 건강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Changes in retail cigarette price after tax increase: Findings from the 2018-2020 ITC Vietnam surveys
Thi Phuong Thao Tran, Thi Ngoc Phuong Nguyen, Thu Trang Vu, Thai Uyen Tran, Don Ngyuen, Son Dao The, 임민경, Anne C K Quah, 오진경, Hoang Van Minh
TOBACCO INDUCED DISEASES, 202412
2
The potential role of perceived neighborhood social cohesion on COVID-19 vaccination uptake among individuals aged 50 and older: Results from the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김윤희, 임민경
PLOS ONE, 202410
3
Vision for tobacco endgame in Korea: suggestions for countries with endgame aspirations
강희원, 전은실, 김현경, 박정미, 황지은, 김진영, 이성규, 한유리, 임민경, 박수잔, 조성일
TOBACCO CONTROL, 202409
1
인천 종합병원 필수의료 의사 인력 충원 방안 모색 정책연구용역
인천광역시의료원
2024년 12월 ~ 2025년 06월
2
[e나라도움] 2024년도 군인 금연지원서비스
보건복지부
2024년 04월 ~ 2025년 06월
3
2024년 만성질환 사업기획 및 건강조사 FMTP
질병관리청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