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Semiconductor System Lab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전기 및 전자공학부 유회준 교수

KAIST 반도체시스템연구실(SSL)은 인공지능 반도체, 뉴로모픽 컴퓨팅, 바이오 헬스케어, 웨어러블 시스템 등 첨단 반도체 시스템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인간 중심의 창의적 삶과 건강한 사회를 위한 SoC(System-on-Chip) 및 NPU(Neural Processing Unit) 아키텍처, 초저전력·고성능 인공지능 하드웨어, 바이오 신호 기반 웨어러블/임플란터블 시스템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LLM), 뉴럴 렌더링, 3D 공간 컴퓨팅, 자율주행, 메타버스 등 차세대 AI 응용을 위한 맞춤형 반도체 설계와, CNN/Transformer/SNN 등 다양한 신경망 구조의 하드웨어 가속기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메모리-내 연산(Processing-In-Memory), 이기종 멀티코어, 네트워크온칩, 초고밀도 DRAM/플래시/MRAM 등 첨단 반도체 기술을 융합하여, 모바일·엣지·로봇·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실시간 AI 처리가 가능한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또한, 인체 통신, 무선 바디 센서 네트워크, 전기 임피던스 토모그래피, 캡슐 내시경, 스마트 스티커, 스마트 의류 등 바이오-반도체 융합 시스템을 통해 만성질환 관리, 조기 질병 진단, 정신 건강 모니터링 등 미래 헬스케어 혁신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초저전력 설계, 무선 통신, 실시간 신호처리, 데이터 보안 등 핵심 기술을 통합하여, 실제 임상 및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상용화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SSL 연구실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지 및 국제학회(ISSCC, VLSI, HOTCHIPS 등)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국내외 특허, 산학협력, 정부 R&D 프로젝트 등 다양한 산출물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AI 반도체 및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을 선도하며, 미래 지능형 사회의 핵심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인간 중심의 휴머니즘을 바탕으로,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반도체 시스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인공지능, 바이오 헬스케어, 웨어러블 컴퓨팅 등 다양한 융합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학생 및 연구원들에게 최고의 연구 환경과 글로벌 경쟁력을 제공합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