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 바이오융합공학과 이영주 교수

세종대학교 바이오융합공학과 이영주 교수 연구실은 분자생물학을 기반으로 핵 호르몬 수용체 신호전달체계, 저산소 신호전달, 내분비계 장애물질 및 식물성 호르몬의 생체 내 작용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에스트로겐, 안드로겐, 글루코코르티코이드 등 다양한 핵 호르몬 수용체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이들이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방암, 자궁내막암 등 호르몬 의존성 암에서 핵 호르몬 수용체의 역할과 저산소 환경에서의 신호전달 변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저산소 신호와 핵호르몬 수용체 간의 Cross-talk 연구는 암세포의 성장, 사멸, 침윤 조절 등 암의 발생과 진행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저산소 환경에서 HIF-1α와 에스트로겐 수용체, 안드로겐 수용체 등과의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암 치료의 새로운 타겟 발굴과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분비계 장애물질(환경호르몬 등)이 핵 호르몬 수용체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이로 인한 건강 위험성 평가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식물성 호르몬 및 환경호르몬의 탐색시스템 개발 및 효능 검증 연구도 본 연구실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습니다. 다양한 식물성 추출물과 화학물질이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향을 OECD 가이드라인에 따라 평가하고, 대체 소재의 안전성 검증과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응용하고 있습니다. 인삼, 승마, 시르시움 등 다양한 식물성 소재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활성화 효과, 환경호르몬의 내분비계 교란 작용, 그리고 혼합 노출에 따른 시너지 효과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암세포 사멸 유도, 신호전달 경로의 동적 변화, siRNA 기반 치료제 개발 등 첨단 바이오 기술을 활용한 암 치료 연구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연구과제와 특허, 논문, 학술대회 발표를 통해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으며, 신약 개발, 환경 독성 평가, 맞춤형 건강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영주 교수 연구실은 분자생물학, 내분비학, 암생물학, 환경보건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통해 생명과학 및 바이오의료 분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핵 호르몬 수용체 신호전달, 저산소 신호, 내분비계 장애물질, 식물성 호르몬 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통해 인류 건강 증진과 과학적 혁신에 기여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