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치의예과 채정일 교수
채정일 연구실은 분자약리학을 기반으로 암세포의 성장 억제 및 사멸 유도 기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연구실입니다. 다양한 천연물 및 합성 화합물을 활용하여 구강암, 피부암, 폐암, 식도암 등 여러 암종에서 세포주기 정지, 세포사멸, 신호전달 경로 조절을 통한 항암 효과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Specificity Protein 1, EGFR, MET, PI3K/AKT, JAK/STAT, MAPK 등 주요 신호전달 단백질을 타깃으로 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감초 유래 리코칼콘, 커피 유래 디테르펜, 퀘르세틴, 레스베라트롤 등 다양한 천연물의 항암 활성 및 분자적 작용 기전을 분석하며, 기존 항암제 내성 극복 및 새로운 치료 타깃 발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수의 SCI급 논문과 특허로 이어지고 있으며,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인간 유래 줄기세포 및 역분화 줄기세포(iPSC)를 이용한 질환 모델링과 신약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파킨슨병, 암 등 다양한 질환 환자 유래 iPSC를 분화시켜 신경줄기세포, 혈관전구세포 등으로 유도하고, 이들 세포를 활용해 질환의 분자적 원인 규명과 약물 반응성 평가를 수행합니다. 오믹스 기반 단백체 분석을 통해 질환 관련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과 안전성을 검증하는 translational research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외에도, 줄기세포 유래 혈관전구세포를 활용한 당뇨병성 창상질환 치료, 이종이식 및 백신 면역 증진 등 다양한 응용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적 연구는 기초과학과 임상적용을 연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맞춤형 치료제 개발과 재생의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채정일 연구실은 분자약리학, 암생물학, 줄기세포 연구, 오믹스 분석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래 의생명과학 및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선도적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혁신적인 연구를 통해 인류 건강 증진과 의학 발전에 이바지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