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분자약리학을 통한 암세포 사멸 기전 연구

본 연구실은 다양한 천연물 및 합성 화합물을 활용하여 암세포의 성장 억제 및 사멸 유도 기전을 분자약리학적으로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구강암, 피부암, 폐암, 식도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세포주기 정지, 세포사멸(apoptosis), 신호전달 경로(EGFR, PI3K/AKT, JAK/STAT, MAPK 등)의 조절을 통한 항암 효과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세포 및 동물모델을 활용한 실험과 단백체학, 유전체학, 생화학적 분석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감초 유래 리코칼콘(Licochalcone) 계열, 커피 유래 디테르펜, 퀘르세틴, 레스베라트롤 등 다양한 천연물의 항암 활성을 규명하고, 이들이 암세포 내 특정 신호전달 단백질(예: Specificity Protein 1, EGFR, MET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항암제 내성 극복 및 새로운 치료 타깃 발굴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실은 암세포의 분자적 특성을 기반으로 한 맞춤형 항암 치료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하며, 다양한 특허 및 논문 발표를 통해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줄기세포 및 역분화 줄기세포 기반 질환 모델링과 신약 개발

본 연구실은 인간 유래 줄기세포 및 역분화 줄기세포(iPSC)를 이용한 질환 모델링과 신약 개발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파킨슨병, 암 등 다양한 질환 환자 유래 iPSC를 분화시켜 신경줄기세포, 혈관전구세포 등으로 유도하고, 이들 세포를 활용해 질환의 분자적 원인 규명과 약물 반응성 평가를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질환 특이적 세포 내 단백질 변화, 신호전달 경로 이상, 세포 사멸 및 생존 기전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자연물 및 합성 화합물을 이용해 줄기세포의 분화 효율을 높이고, 메센카이멀-상피 전이(MET) 촉진 등 세포 운명 전환 과정의 조절 메커니즘을 연구합니다. 또한, 오믹스(Omics) 기반 단백체 분석을 통해 질환 관련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신약 후보물질의 효능과 안전성을 검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맞춤형 치료제 개발과 재생의학 분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줄기세포 유래 혈관전구세포를 활용한 당뇨병성 창상질환 치료, 이종이식 및 백신 면역 증진 등 다양한 응용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초연구에서 임상적용까지 이어지는 translational research를 실현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