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호 연구실
의생명과학과 이건호
이건호 연구실은 뇌신경과학 및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로, 특히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의 조기 진단, 예측,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뇌 자기공명영상(MRI), 기능적 뇌영상, 유전체 정보, 바이오마커, 웨어러블 센서 등 다양한 멀티모달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치매의 조기 발견과 진행 예측, 그리고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기반의 데이터 분석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대규모 치매 코호트와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뇌 영상에서 추출된 구조적·기능적 특징과 유전적 위험인자를 결합한 다중 위험 예측 모델, 혈액 및 체액 내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비침습적 진단법 개발, 그리고 다양한 인종 및 집단을 대상으로 한 표준 뇌지도 구축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유전체 및 바이오마커 기반의 뇌신경질환 연구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의 유전적 위험인자와 다유전자 위험점수, 그리고 혈액·체액 내 단백질, miRNA, 항체 등 다양한 바이오마커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질병의 발병 메커니즘을 밝히고 새로운 진단 및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마커 기반의 조기 진단 키트 및 예측 시스템 개발, 관련 특허 출원 등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한 치매 관리 시스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웨어러블 센서, 스마트 인솔, 디지털 바이오마커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환자의 일상적 행동과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치매 위험을 조기에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지역사회 기반의 치매 코호트 구축과 연계하여,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예방·관리 프로그램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건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정부 및 산업 프로젝트, 특허, 학술 발표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확산시키고 있으며, 치매의 조기 진단과 예방,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그리고 건강한 고령 사회 구현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뇌신경과학과 의생명과학의 융합을 통해, 뇌질환 극복과 국민 건강 증진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Circadian Rhythms
Neurobiology
Synaptic Function
알츠하이머병 및 치매의 조기 진단과 예측
이건호 연구실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의 조기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뇌 자기공명영상(MRI), 기능적 뇌영상(fNIRS, EEG), 생체표지자, 유전체 정보 등 다양한 멀티모달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치매의 조기 발견과 진행 예측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의 임상적 특성과 생물학적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고 개인 맞춤형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인공지능 및 기계학습 기반의 분석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대규모 치매 코호트 데이터와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한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뇌 영상에서 추출된 구조적·기능적 특징과 유전적 위험인자를 결합한 다중 위험 예측 모델, 그리고 혈액 및 체액 내 바이오마커를 활용한 비침습적 진단법 개발 등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다양한 인종 및 집단을 대상으로 한 표준 뇌지도와 뇌 구조의 노화 양상 연구를 통해, 집단별 맞춤 진단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치매의 조기 진단과 예방, 그리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더 나아가, 치매 고위험군을 선별하고 지역사회 기반의 예방 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와 특허, 그리고 다양한 정부 및 산업 프로젝트를 통해 활발히 확산되고 있습니다.
유전체 및 바이오마커 기반 뇌신경질환 연구
연구실은 유전체 정보와 다양한 바이오마커를 활용하여 뇌신경질환의 원인 규명과 진단, 예측에 관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에서 유전적 위험인자(APOE 등)와 다유전자 위험점수(Polygenic Risk Score), 그리고 혈액·체액 내 단백질, miRNA, 항체 등 다양한 바이오마커의 역할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발병 메커니즘을 밝히고, 새로운 진단 및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국인 및 아시아인을 포함한 다양한 인종 집단을 대상으로 대규모 유전체 분석과 코호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종별, 집단별로 차별화된 유전적 위험요소와 뇌 구조의 차이를 규명하고, 맞춤형 진단 및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바이오마커 기반의 조기 진단 키트 및 예측 시스템 개발, 그리고 관련 특허 출원 등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뇌신경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환자 개개인에 맞는 정밀의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더불어, 유전체와 바이오마커 연구를 바탕으로 신약 개발 및 약물 재창출 등 치료 전략의 혁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다학제적 연구 역량은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와 정부·산업 프로젝트를 통해 더욱 확장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치매 관리 시스템 개발
이건호 연구실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하여 치매 및 인지장애의 예방, 진단,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웨어러블 센서, 스마트 인솔, 디지털 바이오마커 등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환자의 일상적 행동과 생체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기반으로 치매 위험을 조기에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계학습 및 딥러닝 기반의 데이터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대규모 임상 데이터와 바이오 빅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치매 고위험군 선별 및 진행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사회 기반의 치매 코호트 구축과 연계하여,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맞춤형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치매 환자와 가족, 의료진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정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치매 임상실증 AI 플랫폼, 치매 바이오 빅데이터 연계 시스템, 디지털 진단 키트 등 다양한 실용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치매 예방과 관리의 패러다임을 혁신하고, 고령화 사회에서의 건강한 노년 생활을 지원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1
Whole-genome sequencing study in Koreans identifies novel loci for Alzheimer`s disease
이건호
ALZHEIMERS & DEMENTIA, 202412
2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by Photoplethysmography
이건호
BIOENGINEERING-BASEL, 202411
3
Task-evoked pupillary responses as potential biomarker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이건호
Alzheimer`s and Dementia: Diagnosis, Assessment and Disease Monitoring, 202410
1
인공지능과 유전정보를 활용한 알츠하이머병의 유형별 예측과 진단 및 약물 재창출
2
퇴행성 뇌질환 중심 시니어 헬스케어 임상실증 AI플랫폼 개발
3
[학술연구/장기2차] 지역사회 기반 노인 치매고위험군 추적조사를 통한 치매예방관리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