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ung Hee University
치의학과 강경리
경희대학교 치의학과 강경리 교수 연구실은 치주과학, 임플란트, 조직재생, 노인치의학 등 치의학 전반에 걸쳐 폭넓고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임플란트 시술의 임상적 성공률과 장기적 예후, 그리고 다양한 골이식 및 조직재생 기법의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상악동 거상술, 골이식, 치조골 보존 및 재생술 등 임플란트 관련 수술의 임상적 결과와 합병증, 생존율에 대한 장기 추적 연구를 통해 임플란트 치료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저강도 초음파, 저출력 레이저, 하이드로겔 등 첨단 생체재료와 물리적 자극을 활용한 골재생 및 조직재생 연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의 분화, 성장인자 발현, 신생혈관 형성 등 조직재생의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보다 효과적인 재생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에서 골이식, 조직유도재생술, 임플란트 주위 조직 관리 등 다양한 치료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여 노인치의학 분야의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노인 환자의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 영양 상태, 인지 기능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다양한 임상 및 역학 연구를 통해 밝혀내고 있으며, 저작 기능 저하가 영양실조, 근감소증, 허약 등 노인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노인 환자를 위한 맞춤형 구강돌봄 시스템과 지역사회 기반 구강건강관리 체계 구축, 노인치의학 교육 커리큘럼 개발 등 사회적·정책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임상 연구뿐만 아니라, 세포 및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 동물실험, 유전자 발현 분석 등 기초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임플란트 및 조직재생 치료의 근본 원리를 규명하고,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CAD-CAM 가이드, 3D 프린팅 등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임플란트 시술의 정확성과 효율성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경희대학교 치의학과 강경리 교수 연구실은 임상과 기초, 그리고 정책 연구를 아우르며 치의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노인치의학 연구, 혁신적인 조직재생 및 임플란트 치료법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Dental Implants
Geriatric Dentistry
Sinus Floor Augmentation
치주과학 및 임플란트 치료의 임상적 연구
본 연구실은 치주과학 분야에서 임플란트 치료의 임상적 효과와 장기적인 성공률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상악동 거상술, 골이식, 치조골 보존 및 재생술 등 다양한 임플란트 시술 기법의 임상적 결과와 합병증, 그리고 생존율에 대한 장기 추적 연구를 통해 임플란트 치료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임플란트 식립 후 발생할 수 있는 골 소실, 부비동 및 비강 침범 등 다양한 임상적 상황에서의 치료 전략을 제시하며,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치조골의 양과 질, 그리고 환자의 전신 건강 상태가 매우 중요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당뇨, 고령, 골다공증 등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과 합병증 발생률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임상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CAD-CAM 가이드, 3D 프린팅 등 최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임플란트 시술의 정확성과 효율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임상 연구는 실제 환자 치료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근거 기반의 지식을 제공하며, 임플란트 치료의 표준화와 안전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임플란트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법 개발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골재생 및 조직재생을 위한 생체재료와 생물학적 기전 연구
본 연구실은 치조골 및 구강 조직의 재생을 위한 생체재료 개발과 그 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강도 초음파, 저출력 레이저, 하이드로겔, 합성 골이식재 등 다양한 생체재료와 물리적 자극이 골재생 및 조직 치유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실험과 세포실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줄기세포의 분화, 성장인자 발현, 신생혈관 형성 등 조직재생의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보다 효과적인 재생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젤라틴-메타크릴레이트/베타-트리칼슘 인산염 복합체와 같은 신개념 생체재료를 활용한 골결손 치료, 저강도 초음파 및 레이저를 이용한 치조골 치유 촉진, 그리고 고령 및 전신질환 환자에서의 조직재생 효율성 증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 발현 분석, 단백질 신호전달 경로, 염증반응 조절 등 세포 수준의 정밀한 연구를 통해 조직재생의 근본 원리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에서 골이식, 조직유도재생술, 임플란트 주위 조직 관리 등 다양한 치료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치유 능력 향상과 시술 성공률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혁신적인 생체재료와 재생치료법 개발을 통해 치의학 분야의 발전에 앞장설 것입니다.
노인치의학 및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의 연계 연구
본 연구실은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여 노인치의학 분야의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노인 환자의 구강 건강이 전신 건강, 영양 상태, 인지 기능 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다양한 임상 및 역학 연구를 통해 밝혀내고 있습니다. 특히, 저작 기능 저하가 영양실조, 근감소증, 허약(frailty) 등 노인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치주질환이 치매, 류마티스 관절염 등 만성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주요한 관심사입니다.
노인 환자를 위한 맞춤형 구강돌봄 시스템, 지역사회 기반 구강건강관리 체계 구축, 그리고 노인치의학 교육 커리큘럼 개발 등 사회적·정책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치과의료 접근성이 낮은 돌봄(의존성) 노인에게도 효과적인 구강건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노인치의학 교육의 표준화와 핵심 역량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시 등 학문적·실무적 기여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화 시대에 필수적인 노인 구강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치의학과 보건의료 정책의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노인 환자의 특성을 반영한 임상 및 정책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1
Impact of Subjective Masticatory Difficulty on Malnutrition and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on, C. W., Shin, S. Y., Kim, M., Ko, M. J., Seo, S., So, J. S., Jung, H. I., Kho, H. S., Kang, K. L., Ha, S. R., Kim, N. H., Linton, J. L., Kang, J. H.
Gerodontology., 2024
2
Reliability of a chairside CAD-CAM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surgery on the anterior maxilla: An in vitro study
Htay, P. E. E., Leesungbok, R., Lee, S. W., Jee, Y. J., Kang, K. L., Hong, S. O.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2023
3
The teaching of geriatric dentistry in South Korean dental schools
Kang, K. L., Kang, M. S., So, J. S., Ko, S. M., Ha, S. R., Hwang, J. Y., Lee, S. G., Lee, S. G., Kho, H. S.
Gerodontology., 2023.06
1
임플란트 식립 후 골생성 및 유착 촉진을 위한 저강도 초음파 치료기 개발 및 양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