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중증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의 임상적 특성 및 맞춤 치료

김민혜 연구실은 중증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다양한 표현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인 중증 천식 환자 코호트(Severe Asthma Registry) 및 다양한 다기관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환자들의 폐기능, 혈액 및 객담 호산구 수치, 생물학적 표지자, 동반 질환(예: 만성 폐쇄성 폐질환, 비염, 비만 등)과의 연관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합니다. 이를 통해 중증 천식 환자군 내에서의 이질성, 즉 환자별로 상이한 임상 양상과 치료 반응을 규명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연구실은 생물학적 제제(항-IL5, 항-IL4/13, 항-IgE 등) 치료의 실제 임상 효과와 예후 예측 인자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혈액 호산구 수치, FeNO(호기 산화질소), 폐기능 등 다양한 바이오마커를 활용하여 생물학적 제제 치료에 대한 조기 및 장기 반응 예측 인자를 도출하고, 치료 반응이 좋은 환자군과 그렇지 않은 환자군의 특성을 비교 분석합니다. 또한, 고령 환자, 비만 환자, 천식-COPD 중복(ACO) 환자 등 특수 집단에서의 중증 천식 관리 전략도 함께 모색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중증 천식 환자의 삶의 질 개선과 의료 자원 효율적 활용에 기여하며, 임상 현장에서 실제 적용 가능한 맞춤형 치료 지침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환자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정밀의학적 접근을 통해, 천식 및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만성 기침 및 기도 질환의 역학, 진단 및 치료

연구실은 만성 기침 및 다양한 기도 질환(예: 만성 기침, 아토피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등)의 역학적 특성과 진단, 치료법 개발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전국 규모의 코호트 연구(Korean Chronic Cough Registry 등)를 통해 한국 성인에서 만성 기침의 유병률, 위험 인자, 삶의 질 저하 정도, 미충족 의료 수요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특히 만성 기침 환자에서의 기침 과민성, 후두 감각 이상, 다양한 유발 인자 및 동반 질환(천식, 비염, 위식도역류 등)과의 연관성을 규명하여, 임상 진단 및 치료 알고리즘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침 및 천식 환자에서의 객관적 증상 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호기 산화질소(FeNO) 측정, 객담 유도 검사 등 다양한 진단 도구의 임상적 유용성도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만성 기침 환자에서의 원인 감별, 치료 반응 예측, 환자 맞춤형 관리 방안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만성 기침 환자에서의 생물학적 제제, 항히스타민제, 항염증제 등 다양한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 치료 반응 예측 인자에 대한 다기관 임상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만성 기침 및 기도 질환 환자의 삶의 질 개선, 불필요한 약물 사용 감소,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환자 중심의 통합적 관리와 임상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 가이드라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