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최수희 연구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최수희 교수

최수희 연구실

의과대학 최수희

최수희 연구실은 불안장애, 적응장애, PTSD, 우울증 등 다양한 정신질환의 신경생물학적 기전과 임상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의학과 소속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뇌영상기법(MRI, PET, qEEG 등)과 임상·심리 평가, 생체지표 분석 등 다학제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정신질환의 원인과 병태생리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사회불안장애 환자에서 나타나는 공포 반응, 주의편향, 자기지각, 사회적 인지의 신경학적 특성을 밝히고, 특정 유전자 및 신경회로의 역할을 동물모델과 인간 대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불안 및 적응장애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디지털 치료기기, 온라인 중재 프로그램, 웨어러블 및 스마트폰 기반 데이터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정신건강 예측 및 중재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CBT) 기반 디지털 치료기기 실증, 통합치료센터 모델 개발, 정신질환자의 의사결정능력 향상 등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섬유근육통 등 만성통증 질환의 신경염증, 대사 이상, 공감능력 저하 등 신경정신의학적 문제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양한 임상집단을 대상으로 한 뇌-신체 상호작용, 스트레스-면역-인지 연계성 분석 등 통합적 연구를 통해 정신질환의 다면적 이해와 치료 전략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최수희 연구실은 앞으로도 빅데이터, 인공지능, 다중 분석 데이터 기반의 in silico 신경회로 모델 개발 등 혁신적 연구를 지속하여, 정신질환의 예방, 조기 발견, 효과적 치료 및 재활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입니다.

불안 및 적응장애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연구
본 연구실은 불안장애와 적응장애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사회불안장애, 우울증 등 다양한 불안 관련 질환에서 나타나는 뇌 기능 및 구조의 변화를 뇌영상기법(MRI, PET, qEEG 등)을 활용하여 분석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amygdala, insula, 전전두엽 등 감정 조절과 공포 반응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기능적 연결성 및 구조적 변화가 불안장애 환자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규명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모델과 인간 대상 실험을 병행하여, 특정 유전자(예: ErbB4) 결손이 공포 일반화 및 불안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신경회로 수준에서 불안장애의 병태생리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불안장애 환자에서의 주의편향, 공포 조건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인지의 신경학적 표지자 발굴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신경생물학적 연구는 불안 및 적응장애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디지털 치료기기 및 인공지능 기반 예측 모델 개발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정신질환의 디지털 치료 및 통합적 중재 모델 개발
연구실은 불안장애, 우울증, PTSD 등 다양한 정신질환 환자를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와 통합적 치료 모델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지행동치료(CBT) 기반의 디지털 치료기기 실증, 온라인 이미지 기반 치료 프로그램, 스마트폰 키스트로크 및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를 활용한 정신건강 예측 및 중재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신질환자의 임상적·뇌영상 지표를 통합 분석하여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국내외 통합치료센터의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정신건강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비약물적 중재, 전문 교육, 지역사회 연계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정신질환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다중 분석 데이터 기반의 in silico 신경회로 모델 개발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정신질환의 예방, 조기 발견, 효과적인 치료 및 재활을 위한 혁신적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계획입니다.
1
Neural correlates of anhedonia in young adults with subthreshold depression: A graph theory approach for cortical-subcortical structural covariance
Yun Je-Yeon, 유소영, 장준환, 최수희, Park Susa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2412
2
Overgeneralization of conditioned fear in pati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Lee YoonJi Irene, Lee Dasom, 최수희, Kim Haena, Kim Min Joo, Jeong Heekyoung, Kim Dongseob, Glotzbach-Schoon Evelyn
FRONTIERS IN PSYCHIATRY, 202408
3
Alterations in cortical thickness of frontoparietal regions in patient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최수희, Lee Dasom, Jung Ye-Ha, Kim Suhyun, Lee Yoonji Irene, Ku Jeonghun, Yoon Uicheul
PSYCHIATRY RESEARCH-NEUROIMAGING, 202406
1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한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말초 기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병원
2024년 08월 ~ 2025년 07월
2
정신질환자의 의사결정능력을 고려한 공유의사결정 모델 개발: 치매와 조현병 중심으로
보건복지부
2024년 05월 ~ 2025년
3
불안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대상 디지털 치료 프로토콜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24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