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불안 및 적응장애의 신경생물학적 기전 연구

본 연구실은 불안장애와 적응장애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사회불안장애, 우울증 등 다양한 불안 관련 질환에서 나타나는 뇌 기능 및 구조의 변화를 뇌영상기법(MRI, PET, qEEG 등)을 활용하여 분석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amygdala, insula, 전전두엽 등 감정 조절과 공포 반응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기능적 연결성 및 구조적 변화가 불안장애 환자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규명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모델과 인간 대상 실험을 병행하여, 특정 유전자(예: ErbB4) 결손이 공포 일반화 및 불안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신경회로 수준에서 불안장애의 병태생리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사회불안장애 환자에서의 주의편향, 공포 조건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인지의 신경학적 표지자 발굴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신경생물학적 연구는 불안 및 적응장애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며, 향후 디지털 치료기기 및 인공지능 기반 예측 모델 개발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2

정신질환의 디지털 치료 및 통합적 중재 모델 개발

연구실은 불안장애, 우울증, PTSD 등 다양한 정신질환 환자를 위한 디지털 치료기기와 통합적 치료 모델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지행동치료(CBT) 기반의 디지털 치료기기 실증, 온라인 이미지 기반 치료 프로그램, 스마트폰 키스트로크 및 웨어러블 기기 데이터를 활용한 정신건강 예측 및 중재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신질환자의 임상적·뇌영상 지표를 통합 분석하여 맞춤형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국내외 통합치료센터의 사례를 분석하여 한국 사회에 적합한 정신건강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비약물적 중재, 전문 교육, 지역사회 연계 등 다각적인 접근을 통해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정신질환의 사회·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다중 분석 데이터 기반의 in silico 신경회로 모델 개발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정신질환의 예방, 조기 발견, 효과적인 치료 및 재활을 위한 혁신적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연구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