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생체유체공학 및 혈류역학 시뮬레이션

정진무 연구실은 생체유체공학 분야에서 혈류역학적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산유체역학(CFD)을 활용하여 뇌혈관질환, 심혈관계 질환 등에서의 혈류 변화와 병리적 현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실제 임상 데이터와의 연계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혈액의 비뉴턴성 특성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기법 개발에 주력하며, 혈관 내 전단응력, 와류, 혈류 패턴 등 미세한 유체역학적 인자를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뇌동맥류, 협착, 심혈관계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발병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치료법의 효과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4D Flow MRI 등 첨단 의료영상과의 융합을 통해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 및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의료기기 개발, 진단 알고리즘 고도화 등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정진무 연구실의 혈류역학 시뮬레이션 연구는 미래 정밀의료와 맞춤형 치료의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2

혈액점도 및 바이오센서 기반 진단기술 개발

정진무 연구실은 혈액점도 측정 및 바이오센서 기반 진단기술 개발에 있어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혈액점도계, 전혈점성 측정기, 휴대용 혈액점도 측정 키트 등 다양한 의료기기를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상용화에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기기들은 임상 현장에서 혈액의 점성 변화와 관련된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예후 평가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혈액점도와 산소전달지수(Oxygen Delivery Index) 등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도입하여,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뇌혈관질환, 만성질환 환자에서의 혈류 특성 변화를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또한, 나노바이오 포토닉스, 마이크로플루이딕스, 다공성 멤브레인 등 첨단 소재 및 공정기술을 접목하여, 초고감도 바이오센서와 진단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 산학협력 프로젝트로 이어지며, 실제 의료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정진무 연구실의 혈액점도 및 바이오센서 연구는 미래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질병 조기진단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3

생체모사 마이크로/나노 플랫폼 및 조직공학 응용

연구실은 생체모사 마이크로/나노 플랫폼 개발과 이를 활용한 조직공학 응용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2D/3D 바이오칩, Gut-on-a-Chip, 세포 시트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한 멤브레인 등 다양한 생체모사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여, 실제 인체 환경을 모사한 실험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세포의 성장, 분화, 이동, 상호작용 등 미세환경에서의 생물학적 현상을 정밀하게 관찰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하이드로젤 기반 마이크로젤, 다공성 멤브레인, 표면개질된 PDMS 등 첨단 소재와 미세가공 기술을 융합하여, 조직재생, 약물방출, 세포치료 등 다양한 바이오메디컬 응용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생체모사 플랫폼 연구는 기존의 동물실험이나 2차원 세포배양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약개발, 독성평가, 재생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래 바이오헬스 산업의 핵심 기반기술로 자리잡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