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Nano Particle Technology Lab

성균관대학교 차세대반도체공학연계전공

김태성 교수

Thermoelectric Properties Measurement

Polishing Pad Simulation

Optical Fiber Force Sensor

Nano Particle Technology Lab

차세대반도체공학연계전공 김태성

나노입자공학연구실(Nano Particle Technology Lab)은 기계공학을 기반으로 반도체, 신소재, 환경, 바이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입자 및 유체 제어, 신소재 합성, 첨단 계측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오염입자 및 슬러리 내 연마입자 거동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반도체 공정의 신뢰성과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CMP(화학적 기계적 평탄화) 공정, 세정 공정, 슬러리 및 패드 소재 개발 등 반도체 핵심 공정의 다양한 문제를 실험과 시뮬레이션, 수치해석을 통해 해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저온 플라즈마 기반의 2차원 신소재(예: MoS2, WS2, 그래핀 등) 합성 및 응용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원자층 증착, 식각 등 첨단 공정기술을 활용하여, 대면적·저온 합성, 원자층 두께 제어, 결함 분석 및 제어 등 신소재의 물성 및 소자 응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소재는 차세대 반도체 소자, 센서, 에너지 소자,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연구실은 소재 합성부터 소자 제작, 성능 평가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광섬유 기반 힘센서, 바이오에어로졸 포집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입자 측정 장치 등 첨단 센서 및 계측기기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나노소재와 광섬유, IoT 기술을 융합한 스마트 센서 플랫폼은 의료, 환경, 반도체 등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실시간 데이터 분석 및 원격 모니터링 기술도 함께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계측기기 연구는 다수의 특허 등록, 기술이전, 산학협력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반도체, 소재, 환경, 바이오 산업체 및 연구기관과의 활발한 산학협력, 다양한 정부 및 기업 과제 수행, 그리고 다수의 특허 및 논문 발표를 통해 연구성과를 산업 현장에 적극적으로 이전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차세대 반도체 공정 장비, 고효율 CMP 패드 및 슬러리, 저온 플라즈마 기반 신소재 상용화, IoT 기반 환경·바이오 센서 등 미래 산업을 선도할 핵심 원천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나노입자공학연구실은 앞으로도 기계공학의 융합적 접근을 바탕으로, 반도체 및 신소재 산업의 혁신, 첨단 계측기술의 발전, 그리고 스마트 환경·바이오 센서 분야의 선도적 연구를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국가 산업 경쟁력 강화와 미래 사회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Thermoelectric Properties Measurement
Polishing Pad Simulation
Optical Fiber Force Sensor
반도체 공정 내 유체 및 입자 제어 기술
나노입자공학연구실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유체 내 입자 거동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합니다. 유체역학, 입자기술, 열 및 질량전달 등 기계공학의 핵심 원리를 바탕으로, 반도체 공정 중 발생하는 오염입자, 슬러리 내 연마입자, 그리고 세정 공정에서의 입자 제거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실험적 접근과 수치해석, 시뮬레이션 기법을 병행하여, 실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CMP(화학적 기계적 평탄화) 공정에서의 슬러리 내 입자 분포, 패드와 디스크의 마모 및 거동, 세정 공정 중 입자 재오염 방지 등 반도체 제조의 핵심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입자 측정 장비와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여, 공정 중 입자의 크기, 농도, 분포 특성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정 최적화를 위한 필터, 세정액, 연마제 등 소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반도체 제조의 수율 향상과 불량률 저감, 나아가 차세대 반도체 공정의 신뢰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나노입자공학연구실의 연구 성과는 국내외 반도체 산업계와의 산학협력, 특허 및 기술이전, 그리고 다양한 정부 및 기업 과제 수행을 통해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저온 플라즈마 및 2차원 신소재 합성·응용
본 연구실은 저온 플라즈마 기반의 합성 및 식각 공정 기술을 활용하여 차세대 2차원(2D) 신소재의 형상 제어와 원자층 수 조절, 나노결정성/패터닝 등 다양한 전기적 특성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PECVD), 플라즈마 식각, 원자층 증착(ALD) 등 첨단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MoS2, WS2, 그래핀 등 2차원 전이금속 칼코게나이드(TMD) 및 이종접합 구조체를 대면적, 저온 조건에서 합성하는 데 성공하였습니다. 이러한 신소재는 반도체 소자, 센서, 에너지 소자,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연구실은 소재의 합성뿐만 아니라 실제 소자 제작 및 성능 평가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플라즈마를 이용한 이종접합 구조의 정밀 제어, 원자층 두께 조절, 결함 분석 및 제어, 그리고 신소재 기반의 뉴로모픽 소자, 메모리, 촉매 등 응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반도체 소자의 고성능화, 에너지 효율 향상, 신뢰성 증대에 필수적인 기반 기술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유수의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2D 신소재의 상용화 및 산업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센서 및 계측기기 설계·개발
나노입자공학연구실은 반도체, 바이오,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첨단 센서 및 계측기기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광섬유 기반 힘센서, 바이오에어로졸 포집 및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입자 측정 장치, 광학 센서 등 다양한 계측기기를 자체적으로 설계·제작하여, 실제 산업 및 연구 현장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광섬유 및 나노소재를 융합한 센서 플랫폼은 높은 감도와 신뢰성을 바탕으로, 의료기기, 환경 모니터링, 반도체 공정 모니터링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우수한 성능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IoT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등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스마트 계측기술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센서 및 계측기기 연구는 다수의 특허 등록 및 기술이전, 산학협력 프로젝트로 이어지고 있으며, 국내외 학회 및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첨단 계측기술의 혁신을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의 문제 해결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1
Advanced Materials (Inside Front Cover)
Advanced Materials, 1970
2
Advanced Science (Featured as Back Cover)
Advanced Science, 1970
3
Small Science (Featured as Front Cover)
Small Science, 1970
1
7nm급 반도체 고효율화 CMP 연마패드 소재 및 제품화 기술 개발
2020년 03월 ~ 2024년 12월
2
고기능성 CMP Pad conditioner에 필요한 박막 소재 및 코팅 기술개발
2021년 08월 ~ 2024년 12월
3
수전해 전극 공정을 위한 저온 플라즈마 기초연구실
2022년 05월 ~ 2025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