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Building Environment and Materials Lab

연세대학교 본교(제1캠퍼스) 건축공학과

김수민 교수

Building Materials

Thermal Energy Storage

Indoor Air Quality

V3_minor

Building Environment and Materials Lab

건축공학과 김수민

건축공학과 건축환경 및 재료 연구실은 상변화 물질(PCM)과 바이오차를 활용한 열 에너지 저장 및 건축 자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연구실은 다양한 R&D 프로젝트를 통해 상변화 물질을 포함한 점착 조성물, 진공함침법을 이용한 상안정 상변화 물질, 그리고 바이오차-황토 복합 건축자재의 난연성능 평가 등의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실내 공기질 개선과 관련된 연구에서도 두각을 나타내며, 목재가공제품의 실내공기환경 영향성 평가와 미세플라스틱 검출 방법 연구 등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와 학회에서 발표되었으며, 다수의 특허 출원과 실용화로 이어졌습니다.

Building Materials
Thermal Energy Storage
Indoor Air Quality
상변화 물질을 이용한 열에너지 저장 기술
건축공학과 건축환경 및 재료연구실에서는 상변화 물질(PCM)을 이용한 열에너지 저장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은 건축 재료에 PCM을 통합하여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방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건물의 온도 조절과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난방 및 냉방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바이오차와 같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PCM의 안정성을 높이고,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열저장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건축자재의 업사이클링을 통한 지속 가능성 향상
연구실에서는 폐기물 재활용과 업사이클링을 통해 지속 가능한 건축자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의류 폐기물을 활용한 열에너지 저장 매트릭스와 같은 혁신적인 재료를 개발하여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자원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건축 분야에서 순환 경제를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건축 실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또한, 생물 기원을 활용한 다양한 소재들이 건축 자재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다양한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1
Enhancing the hygrothermal performance of corn cob residue-based ecofriendly building materials through biochar and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 incorporation
Ji Yong Choi, Jihee Nam, Hyeonseong Yuk, Sungwoong Yang, Sumin Kim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2024
2
Advancing the circular econom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ith timber hybrid construction in South Korean public building: A case study
Bigyeong Shin, Sumin Kim
Building and Environment, 2024
3
Energy retrofit technology for modern and contemporary educational historical buildings considering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spects
Haedeun Park, Jinyoung Park, Sumin Kim, Seong Jin Chang
Energy Reports, 2024
1
중고층 목조건축물 맞춤형 저탄소•에너지설계기술 개발(산림청)
2
목질화 리모델링 탄소중립 기여도 산출 프로세스 개발(산림청)
3
실내건축과제 열화로 인한 미세플라스틱 검출 방법 및 Plastic-free 주거생활환경 전략(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