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김수민 연구실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김수민 교수

김수민 연구실은 건축공학 분야에서 건물에너지 효율 향상과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첨단 친환경 건축자재 및 시스템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상변화물질(PCM), 바이오차, 나노카본 등 다양한 첨단 소재를 활용하여 건물의 냉난방 부하를 저감하고, 실내 쾌적성과 건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혁신적인 건축 내장재·외장재, 바닥난방 시스템, 단열재, 창호 리트로핏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PCM과 바이오차의 복합화 기술을 통해 열적 축열 성능과 내구성, 친환경성을 극대화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진공함침장치 등 자체 개발 장비를 활용하여 실용화 수준의 건축자재를 연구합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실제 건물에 적용되어 에너지 시뮬레이션, 실증 실험, 장기 내구성 평가, 경제성 분석 등 다양한 관점에서 성능을 검증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제로에너지건축물(ZEB), 탄소중립 건축, 그린리모델링 등 미래지향적 건축환경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근현대 건축문화재, 학교, 복지시설 등 다양한 유형의 노후 건축물에 대한 에너지 리트로핏 및 실내환경 개선 기술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역사적 건축물의 경우, 문화재 보존과 현대적 활용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외관 훼손 없이 실내 성능을 향상시키는 고성능 내장재, 창호 리트로핏, 진공단열재(VIP), 고단열·고축열 복합재 등 다양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해 플러쉬 아웃, 저방출 마감재, 활성탄 및 바이오차 기반 흡착재, 공기정화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고, 미세먼지·미세플라스틱 등 실내 오염물질의 발생원 분석 및 저감 방안도 연구합니다. 연구실은 실내외 환경 모니터링, CFD 및 WUFI 시뮬레이션, 에너지 성능 평가, 경제성 분석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건물의 열적 쾌적성, 습기 및 곰팡이 위험, 미세먼지 및 실내공기질 등 다양한 환경 요소를 통합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합니다. 학교, 어린이집 등 취약계층이 이용하는 공공건축물에서는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에너지 절감과 동시에 건강한 실내환경 조성을 목표로, 창호·단열·환기·조명 등 패키지형 리트로핏 기술을 실증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연구는 건물의 에너지 성능 개선뿐만 아니라, 쾌적하고 건강한 실내환경 조성, 탄소중립 및 지속가능성 확보, 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합니다. 연구실은 실측, 시뮬레이션, 장기 모니터링, 경제성 분석 등 다양한 방법론을 통해 리트로핏 기술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고, 정책 및 실무 적용을 위한 가이드라인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김수민 연구실은 첨단 소재와 융합기술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축환경 구현을 선도할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