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Networking System Lab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김영훈 교수

FPGA

Network Research

FPGA

Networking System Lab

소프트웨어학과 김영훈

Networking System Lab은 신소재공학과를 기반으로 차세대 반도체 소자, 유연·투명 전자소자, 광 기반 뉴로모픽 소자 등 첨단 신소재 및 소자 기술을 연구하는 선도적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산화물, 칼코젠, 금속 나노구조체 등 다양한 신소재를 활용하여, 고성능·저전력·고집적 반도체 소자 및 회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멤트랜지스터, 인공지능 반도체 어레이,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등 미래형 인공지능 하드웨어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유연하고 투명한 전자소자 및 웨어러블 센서 시스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전도성 섬유, 나노복합소재, 텍스타일 기반 센서 등 혁신적인 구조와 소재를 도입하여, 스마트 의류, 전자피부, 바이오 신호 감지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고감도·고내구성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면적 인쇄 공정 및 저온 합성 기술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광 기반 뉴로모픽 소자 및 인공지능 하드웨어 연구를 통해, 빛을 이용한 초저전력·고속 연산이 가능한 신경모사 소자와 회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금속 산화물, 양자점, 칼코젠 화합물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멀티모달 센서와 딥러닝 기반 신호 해석 기술을 접목한 혁신적인 인공지능 하드웨어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반도체 소재 및 소자 공정의 혁신, 대면적·유연 소자의 신뢰성 평가, 환경 및 바이오 응용을 위한 센서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산학연 협력 및 대형 국가과제 수행을 통해, 미래 반도체 및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Networking System Lab은 소재-공정-소자-시스템-알고리즘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및 인공지능 하드웨어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혁신적인 연구와 인재 양성을 통해, 글로벌 신소재·반도체 분야의 중심 연구실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FPGA
Network Research
FPGA
차세대 반도체 및 신소재 기반 멤트랜지스터 개발
본 연구실은 차세대 반도체 소자, 특히 산화물 및 칼코젠 기반 멤트랜지스터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멤트랜지스터는 메모리와 트랜지스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혁신적인 소자로, 인공지능 반도체 어레이, 뉴로모픽 컴퓨팅, 고집적 회로 등에 필수적인 핵심 기술입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금속 산화물 및 칼코젠 화합물을 활용하여 소자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저전력·고속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특히, 용액공정 및 저온 공정을 통한 대면적, 유연 소자 제작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웨어러블 전자기기, 바이오센서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수직형 반양극성 멤트랜지스터 구조를 도입하여, 고밀도 집적 및 신호 정밀도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와 신뢰성을 높이는 동시에, 차세대 인공지능 하드웨어 구현에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소재, 공정, 소자 구조의 혁신을 통해 미래 반도체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할 계획입니다.
유연·투명 전자소자 및 웨어러블 센서 시스템
본 연구실은 유연하고 투명한 전자소자 개발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웨어러블 센서 시스템 연구에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금속 산화물, 나노복합소재, 전도성 고분자 등 다양한 신소재를 활용하여, 신축성과 투명성을 동시에 갖춘 트랜지스터, 센서, 전극 등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자들은 피부 부착형 전자피부, 스마트 의류, 바이오 신호 감지 등 차세대 헬스케어 및 IoT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특히, 텍스타일 기반의 압력·스트레인 센서, 전도성 섬유, 나노와이어 네트워크 등 혁신적인 구조를 도입하여, 높은 감도와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면적 인쇄 공정 및 저온 합성 기술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고, 실제 환경에서의 신뢰성 평가 및 내구성 향상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스마트 헬스케어, 환경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미래형 스마트 디바이스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소재-공정-소자-시스템 통합 연구를 통해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광 기반 뉴로모픽 소자 및 인공지능 하드웨어
본 연구실은 광 기반 뉴로모픽 소자와 인공지능 하드웨어 구현을 위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광 뉴로모픽 소자는 빛을 이용해 신경 시냅스의 기능을 모사하는 차세대 인공지능 소자로, 초저전력·고속 연산이 가능하며, 기존 전자 기반 뉴로모픽 소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금속 산화물, 양자점, 칼코젠 화합물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광 신호에 반응하는 시냅스 소자 및 멤트랜지스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 회로 집적화 및 대규모 어레이 구현을 위한 소자 설계, 신호 처리 알고리즘, 집적 공정 기술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멀티모달 센서와 딥러닝 기반 신호 해석 기술을 접목하여, 복합 자극 인지 및 뇌-모사 연산 기능을 갖춘 인공지능 하드웨어 플랫폼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차세대 로봇, 스마트 센서, 자율주행,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소재-소자-시스템-알고리즘의 융합을 통해 미래 인공지능 하드웨어 기술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습니다.
1
Temperature-driven co-optimization of IGZO/HZO ferroelectric field-effect transistors for optoelectronic neuromorphic computing
김영훈, 김태규, 김현희, 김형섭, 남산, 박진성, 박찬규, 엄덕준, 이우희, 이희수
NANO ENERGY, 2025
2
Recent progress of neuromorphic sensory and optoelectronic systems
강동원, 강동현, 김영훈, 남산, 박성규, 조정완
INTERNATIONAL JOURNAL OF EXTREME MANUFACTURING, 2025
3
Enhanced dielectric properties of alternative NO-gas-based SiO2 films via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for high-performance indium?gallium?zinc oxide thin-film transistors
강영진, 김영훈, 김은하, 박세령, 이준신, 장윤희, 하태준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 2025
1
[경기도비]경기도 반도체 인력양성ㆍ기술협력 대학혁신플랫폼
지방자치 지방자치
2024년 08월 ~ 2025년 07월
2
[응용4-경기도] 차세대 반도체 소재 및 응용소자기술 개발
지방자치 지방자치
2024년 07월 ~ 2025년 06월
3
[응용4-민간부담금] 차세대 반도체 소재 및 응용소자기술 개발
지방자치 지방자치
2024년 07월 ~ 2025년 06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