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학과 김영훈 교수
Networking System Lab은 신소재공학과를 기반으로 차세대 반도체 소자, 유연·투명 전자소자, 광 기반 뉴로모픽 소자 등 첨단 신소재 및 소자 기술을 연구하는 선도적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산화물, 칼코젠, 금속 나노구조체 등 다양한 신소재를 활용하여, 고성능·저전력·고집적 반도체 소자 및 회로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멤트랜지스터, 인공지능 반도체 어레이,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등 미래형 인공지능 하드웨어 구현을 위한 핵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유연하고 투명한 전자소자 및 웨어러블 센서 시스템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전도성 섬유, 나노복합소재, 텍스타일 기반 센서 등 혁신적인 구조와 소재를 도입하여, 스마트 의류, 전자피부, 바이오 신호 감지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한 고감도·고내구성 소자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대면적 인쇄 공정 및 저온 합성 기술을 통해 상용화 가능성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광 기반 뉴로모픽 소자 및 인공지능 하드웨어 연구를 통해, 빛을 이용한 초저전력·고속 연산이 가능한 신경모사 소자와 회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금속 산화물, 양자점, 칼코젠 화합물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멀티모달 센서와 딥러닝 기반 신호 해석 기술을 접목한 혁신적인 인공지능 하드웨어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반도체 소재 및 소자 공정의 혁신, 대면적·유연 소자의 신뢰성 평가, 환경 및 바이오 응용을 위한 센서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산학연 협력 및 대형 국가과제 수행을 통해, 미래 반도체 및 스마트 디바이스 산업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Networking System Lab은 소재-공정-소자-시스템-알고리즘의 융합적 연구를 통해, 차세대 반도체 및 인공지능 하드웨어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혁신적인 연구와 인재 양성을 통해, 글로벌 신소재·반도체 분야의 중심 연구실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