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오상희 연구실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융합학부

오상희 교수

Digital Library Education

Information Retrieval

Online Communities

오상희 연구실

글로벌융합학부 오상희

오상희 연구실은 문헌정보학과를 기반으로 현대 사회의 정보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소셜미디어, 온라인 커뮤니티, 공공도서관 등 다양한 정보 공간에서의 정보 탐색, 공유, 평가, 서비스 제공에 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정보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과 실무적 혁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와 같은 사회적 이슈 상황에서 온라인 Q&A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를 통한 건강정보 탐색 및 공유 행위, 정보 요구의 변화, 커뮤니티 내 상호작용과 정보 품질 평가 등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데이터사이언스 기반의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정보 환경에서의 신뢰성, 정보 격차, 허위정보 대응 등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도서관 및 정보기관에서의 건강정보서비스 제공과 정보문해 교육에 관한 연구도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사서와 이용자 모두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고, 건강정보 웹사이트 평가 기준 개발,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 정보문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 실질적인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도서관이 지역사회 건강정보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정보취약계층의 건강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학술지 및 학술행사에 대한 인식 조사, 온라인 커뮤니티 발전 단계 분석, 정보공유 동기 연구 등 문헌정보학 전반에 걸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국내외 학회 및 학술대회에서 활발히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 텍스트 마이닝,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등 다양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론과 실무를 아우르는 연구를 지향합니다. 이러한 연구 활동을 통해 오상희 연구실은 정보학 분야에서의 학문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보건기관 등 다양한 정보기관의 서비스 혁신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변화하는 정보환경에 맞춘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Digital Library Education
Information Retrieval
Online Communities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정보 탐색 및 공유 행위 연구
본 연구실은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정보 탐색 및 공유 행위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팬데믹과 같은 사회적 이슈 상황에서 사람들이 온라인 Q&A 커뮤니티, 소셜미디어, 블로그 등을 통해 건강, 일상, 사회적 문제에 관한 정보를 어떻게 탐색하고 공유하는지 다양한 계층과 맥락에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실제 사용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주제 모델링, 연관 규칙 분석 등 데이터사이언스 기반의 방법론을 활용하여 정보 요구와 상호작용의 변화 양상을 규명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정보의 신뢰성, 정보 격차, 허위정보 및 오정보의 확산 등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발전 단계, 커뮤니티 내 상호작용, 정보 제공자와 수용자의 동기와 특성, 그리고 정보 품질 평가 기준 등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온라인 환경에서의 효과적인 정보 전달과 커뮤니티 활성화 방안을 제시합니다. 또한, 다양한 사회적, 환경적 건강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정보행동의 특성을 밝히고, 정보서비스 제공자와 정책입안자에게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가 현대인의 정보생활에서 차지하는 역할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정보 환경을 구축하는 데 기여합니다. 연구 결과는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보건기관 등에서의 정보서비스 개선, 온라인 건강정보 문해교육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보 접근성 강화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및 정보기관의 건강정보서비스와 정보문해 교육
연구실은 공공도서관 및 다양한 정보기관에서의 건강정보서비스 제공과 정보문해 교육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CHI) 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사서와 이용자 모두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여 서비스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 특히, 건강정보의 신뢰성 평가, 건강정보 웹사이트 평가 기준 개발,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정보서비스, 아웃리치 프로그램 등 실질적인 서비스 모델을 연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사서와 이용자의 설문조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문헌분석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현장의 목소리와 실제 사례를 반영합니다. 또한, 대학생, 중년층, 여대생 등 다양한 이용자 집단의 건강정보 탐색 행태와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건강신념, 인터넷 활용도, 사회적 규범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도서관이 지역사회 건강정보 허브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정보취약계층의 건강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방안을 도출합니다. 이 연구는 건강정보서비스의 질적 향상뿐만 아니라, 정보문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서의 전문성 강화, 도서관-보건기관 협력체계 구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사회적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연구 결과는 정책 제안, 교육 커리큘럼 개발, 서비스 가이드라인 마련 등 실무 현장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1
Topics of questions and community interaction in social Q&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Fu Hengyi, Oh Sanghee
HEALTH INFORMATION AND LIBRARIES JOURNAL, 202312
2
Online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early stages: the life cycle model application to Medical Sciences Stack Exchange
Fu Hengyi, Oh Sanghee
ASLIB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202209
3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in South Kore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aily topics of information needs in social Q&A
Kim Heejun, Oh Sanghee
ONLINE INFORMATION REVIEW, 202207
1
2021 대전시 평생학습 빅데이터 구축 및 활용 방안연구
대전평생교육진흥원
2021년 06월 ~ 2021년 10월
2
소셜미디어 이용자들의 사회적, 환경적 건강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건강정보 추구와 공유 행위 연구
한국연구재단(교육부)
2020년 05월 ~ 2021년 0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