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차세대 혼합 신호 집적회로(Mixed-Mode IC) 및 VLSI 설계

AISL 연구실은 차세대 혼합 신호 집적회로(Mixed-Mode IC)와 초대형 집적회로(VLSI) 설계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저지터 PLL/DLL 구조 분석 및 설계, 고속 Wireline Transceiver(SERDES), 저전력/고속 ADC, High-speed I/O, Power management, Network on a Chip 등 다양한 첨단 회로 설계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데이터 센터, 메모리, 디스플레이, 자동차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요구되는 고대역폭, 저전력, 고신뢰성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Wireline Transceiver와 SERDES 설계, 6G 통신 및 자동차용 센서 리드아웃 IC, 에너지 효율적인 전력 관리 IC(PMIC) 및 IoT를 위한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등은 연구실의 핵심 연구 주제입니다. 이와 함께, 디지털 회로 설계에서 보안 및 암호화, NTV 라이브러리 개발 등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성능과 신뢰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혁신적인 회로 및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AISL 연구실은 국내외 유수 학술지와 국제 학회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다양한 산학협력 및 정부 과제를 수행하며,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또한, 학생 및 연구원들은 각종 논문상, 설계대회 수상 등 우수한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으며, 차세대 반도체 및 시스템 설계 분야의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

면역노화 및 감염면역 연구

AISL 연구실은 의과학과와의 융합을 통해 면역노화와 감염면역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노년층에서의 T세포 면역 저하, 백신 반응성 감소, 감염 질환에 대한 취약성 증가 등 노화와 관련된 면역학적 변화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분자적·세포적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T세포의 대사 신호 변화, 히스톤 결핍, miR-181a 및 FOXO1 등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가 면역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SARS-CoV-2(코로나19), 인플루엔자, MERS-CoV 등 다양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백신 효과, 면역 반응의 지속성, 장내 미생물군이 백신 항체 내구성과 부스터 반응에 미치는 영향 등 최신 이슈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B형간염 치료백신 개발, 노년층 백신 특이적 기억면역의 기능적 특성 연구, 개인별 면역노화지표와 면역나이를 통한 백신 반응성 예측 등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실제 임상 적용을 위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백신의 효율성 증진, 감염병 예방 및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면역노화의 분자적 원인 규명과 함께 새로운 치료법 및 백신 플랫폼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AISL 연구실은 면역학, 분자생물학, 바이러스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미래 의생명과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