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최연경 연구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최연경 교수

최연경 연구실

의과대학 최연경

최연경 연구실은 내분비대사내과를 기반으로, 대사성 질환과 암 대사, 혈관질환 등 다양한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당뇨병, 비만, 이상지질혈증, 만성 신장질환 등 내분비 및 대사계 질환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문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세포의 대사 재프로그래밍과 대사조절 기반 항암 치료 전략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글루타민 대사, 포도당 대사, 지방산 대사 등 암세포의 주요 대사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 후보 물질 개발과, 면역관문 억제제와의 병용 치료 효과 탐구를 통해, 약제 내성 극복과 환자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상 증식 및 이동이 혈관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ERRγ 역작용제 등 혁신적 신약 후보 물질을 개발하여 동맥경화증, 혈관재협착증, 이식혈관 협착증 등 다양한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특허 출원 및 기술 이전을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임상 환자 데이터를 활용한 역학 연구, 분자생물학적 실험, 동물모델 연구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질환의 위험 인자와 바이오마커 발굴, 신약 개발, 치료 표적 규명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대사질환 관리, 원격 처방의 효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환자 중심의 의료 혁신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최연경 연구실은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대사성 질환, 암, 혈관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 전략을 통합적으로 연구하며,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와 혁신적 치료제 개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내분비대사내과와 대사성 질환 연구
최연경 연구실은 내분비대사내과를 중심으로 다양한 대사성 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 전략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비만, 만성 신장질환 등 내분비계와 대사계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질환의 발생 기전과 진행 과정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임상 환자 데이터를 활용한 역학 연구와 분자생물학적 실험을 병행하여, 질환의 위험 인자와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변화, 원격 처방의 효과, 사회적 거리두기가 대사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 실제 임상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2형 당뇨병의 발병 위험성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이리신 등) 연구와, 대사성 질환 환자에서 발생하는 혈관 합병증의 분자적 기전 규명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내분비대사내과 영역에서 환자 진단 및 치료의 정밀도를 높이고, 새로운 치료 표적 및 예측 지표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조기 진단, 맞춤형 치료로 이어지는 통합적 의료 패러다임 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암 대사 및 대사조절 기반 항암 치료 연구
최연경 연구실은 암세포의 대사 재프로그래밍과 이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 치료 전략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글루타민 대사, 포도당 대사, 지방산 대사 등 암세포의 주요 에너지 대사 경로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암세포의 성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대사적 취약점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글루타민 수송체 억제제, PPAR-β 길항제, RORα 활성조절제 등 대사조절 기반의 신약 후보 물질을 개발하고, 면역관문 억제제와의 병용 치료 효과도 탐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간세포암, 폐암 등 다양한 암종에서 대사 조절 인자(예: PPAR-δ, ERRγ, Sestrin2, mTORC1/2 등)의 역할을 규명하고, 약제 내성 극복을 위한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또한, 암세포의 대사 스트레스 환경에서의 생존 전략, 대사적 상호작용 조절을 통한 종양 미세환경 변화,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 등 암 미세환경 내 대사 네트워크를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 맞춤형 대사 표적 치료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특허 출원 및 기술 이전을 통해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신약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혈관평활근세포 및 대사성 혈관질환 연구
연구실은 혈관평활근세포의 이상 증식 및 이동이 동맥경화증, 혈관재협착증, 이식혈관 협착증 등 다양한 혈관질환의 발생과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ERRγ 역작용제(DN200434)와 같은 신약 후보 물질을 개발하여, 혈관평활근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산화적 인산화 억제, 세포 증식 감소, 신생내막 형성 억제 등 혈관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혈관평활근세포의 대사 조절 및 신호전달 경로(예: mTOR, AMPK 등)를 표적으로 하는 다양한 화합물의 효능을 평가하고, 약물 코팅 스텐트 등 실제 의료기기 적용 가능성도 탐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사성 질환(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 환자에서 혈관 합병증의 발생 기전과 예방 전략을 임상 및 실험실 연구를 통해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대사성 혈관질환의 조기 진단,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 재발 방지 등 임상적 문제 해결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특허 출원 및 기술 상용화를 통해 실제 환자 치료에 적용될 수 있는 혁신적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1
Discovery of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PPARS agonist bearing 1,3,4-thiadiazole in inflammatory disorders
최연경
EUROPEAN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24
2
Diabetes Primes Neutrophils for Neutrophil Extracellular Trap Formation through Trained Immunity
최연경
RESEARCH, 2024
3
Cell Death in Liver Disease and Liver Surgery
최연경
BIOMEDICINES, 2024
1
간내 아미노산 대사 조절을 통한 비알코올성지방간염 질환 제어 연구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대사적 상호 작용 조절로 대사성 간질환을 제어하는 핵수용체의 기능 연구
한국연구재단
2021년 03월 ~ 2022년 02월
3
종양신호와 암 대사를 매개하는 신규 표적 발굴
한국연구재단
2021년 ~ 2022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