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은 연구실
해양과학융합학부 이경은
이경은 연구실은 해양지질 및 해양환경 변화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해양퇴적물과 다양한 해양 프록시 자료를 활용하여 과거 해양환경과 기후 변동을 복원하는 데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동해, 서해, 오키나와 트러프, 북서태평양 등 다양한 해역을 대상으로 심해 및 연안 퇴적물의 물리·화학적 특성, 침식거동, 유기 및 무기물 조성 등을 정밀하게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해양 환경 변화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해양생태계 및 지구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케논, GDGT, 플랑크토닉 유공충 등 다양한 해양 프록시를 활용하여 수만 년에서 수백만 년에 이르는 해수 표층 온도, 염분, 생산성, 해양 순환의 변동사를 복원하고 있습니다. 고해상도 시계열 분석과 수치모델링을 통해 빙하기-간빙기, 홀로세, 중세 온난기, 소빙하기 등 다양한 기후 시기의 해양환경 변화를 정밀하게 추적하며, 태양 복사, CO2 농도 등 기후 강제력과 해양환경 변화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은 해양퇴적물의 침식 및 재부유 메커니즘, 칼슘 탄산염 함량의 정량적 분석, 생물기원 입자의 역할 등 해양지질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해양환경 보전과 해양자원 개발, 극한재해 대응 등 실질적인 사회적 문제 해결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아시아 몬순, 쿠로시오 해류, 아극전선대 등 지역적 해양 순환 변화와 기후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규명함으로써, 한반도 및 동아시아 해역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도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국제 공동연구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최신 해양탐사 및 시추 기술, 첨단 분석 장비를 활용하여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양과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은 물론, 미래 해양환경 변화 예측과 지속가능한 해양 관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경은 연구실은 앞으로도 해양지질 및 고해양환경 연구를 선도하며, 해양과학의 융합적 발전과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 연구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지질해양 및 해양퇴적물 연구
지질해양 및 해양퇴적물 연구는 해양 환경 변화와 지구 기후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동해, 서해, 오키나와 트러프 등 다양한 해역에서 해양퇴적물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과거 해양 환경의 변동을 복원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멀티코어러, 침식 마이크로코즘 시스템, XRF 스캐닝 등 첨단 장비를 활용하여 퇴적물의 입도, 조성, 침식 특성 등을 정밀하게 측정합니다.
특히, 심해 표층퇴적물의 침식거동 특성, 칼슘 탄산염(CaCO3) 함량의 정량적 분석, 그리고 생물기원 입자의 역할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해저 환경의 안정성 평가, 해양 퇴적물의 재부유 및 이동 메커니즘 규명, 그리고 고해양환경 수리조건의 재구성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또한, 퇴적물 내 유기 및 무기 지표를 활용하여 해양 환경 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해양환경 보전, 해양자원 개발,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 정책 수립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해양퇴적물 연구는 해양과학의 다양한 분야와 융합되어, 미래 해양환경 변화 예측 및 극한재해 대응 전략 수립에도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고해양환경 및 고기후 복원 연구
고해양환경 및 고기후 복원 연구는 해양 퇴적물, 부유성 유공충, 알케논, GDGT 등 다양한 프록시 자료를 활용하여 수만 년에서 수백만 년에 이르는 해양 및 기후 변동사를 재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동해, 동중국해, 북서태평양 등지에서 해양 퇴적물 코어를 분석하여, 빙하기-간빙기, 홀로세, 중세 온난기, 소빙하기 등 다양한 시기별 해수 표층 온도, 염분, 생산성, 해양 순환의 변화를 정밀하게 복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알케논 불포화도, 플랑크토닉 유공충의 Mg/Ca 비, 산소 동위원소비, GDGT 기반 TEX86 등 다양한 해양 프록시를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해수 온도와 기후 강제력(태양 복사, CO2 농도 등)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합니다. 또한, 고해상도 시계열 분석과 수치모델링을 병행하여, 수십 년에서 수백 년 단위의 기후 변동성, 해수면 온도의 주기적 변화, 그리고 해양-대기 상호작용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과거 기후 시스템의 자연 변동성을 이해하고, 미래 기후 변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더불어, 동아시아 몬순, 쿠로시오 해류, 아극전선대 등 지역적 해양 순환 변화와 기후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규명함으로써, 한반도 및 주변 해역의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1
Seasonal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living planktonic foraminifera in the western tropical Pacific Ocean
Kim R.A., Lee K.E., Ko T.W.
Deep-Sea Research Part I: Oceanographic Research Papers, 202311
2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glycerol dialkyl glycerol tetraethers in suspended material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Applicability as a paleotemperature proxy
Ko Tae Wook, Lee Kyung Eun, Yamamoto Masanobu, Kim Dongseon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02210
3
Holocene centennial variability in sea surface temperature and linkage with solar irradiance
Bae Si Woong, Lee Kyung Eun, Ko Tae Wook, Kim Ryoung Ah, Park Young-Gyu
SCIENTIFIC REPORTS, 202209
1
플라이스토세 후기 북서태평양 천년규모 기후변화: 프록시 복원과 모델 시뮬레이션 비교연구
2
고해상도 동해 과거 표층수온 복원과 자연변동성 기후변화 분석(3차년도)
3
서남해 연안환경의 과거 극한재해발생 및 규모 추적연구 -서해 남동부 연안 니질퇴적물 지화학 분석을 통한 과거 표층수온 변화 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