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민수 연구실
의과대학 변민수
변민수 연구실은 노인정신의학, 특히 알츠하이머병을 중심으로 한 노인성 치매의 병태생리, 조기 진단, 위험 예측,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대규모 코호트(KBASE 등)를 기반으로, 임상 평가, 신경심리검사, 다중 모달 뇌영상(PET, MRI 등), 혈액 및 유전자 분석 등 다양한 첨단 연구기법을 통합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뇌 내 축적이 인지기능 저하 및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혈액 바이오마커, 유전자 다형성, 대사체, 장내 미생물 등 다양한 생체지표와의 연관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혈중 타우 및 아밀로이드 농도를 이용한 조기 진단법 개발, QPLEX™ 등 다중 바이오마커 패널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딥러닝 기반 뇌영상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치매의 조기 진단과 위험 예측을 위한 다중 요인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혈액, 유전자, 대사체, 장내 미생물, 생활습관, 심혈관 위험인자 등 다양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치매의 발병 위험을 예측하고 병의 진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발굴합니다. 또한, 딥러닝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뇌영상 자동 분석, 다중 오믹스 데이터 통합 분석, 대규모 코호트 자료를 바탕으로 한 예측 모델 개발 등도 연구의 중요한 축을 이룹니다.
이러한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및 노인성 치매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 및 관리,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 그리고 국가적·사회적 치매 극복 전략 수립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회 및 국제 컨퍼런스에서 활발히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있으며, 다수의 특허와 논문, 그리고 정부 및 기관의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국내 치매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노인정신의학과 알츠하이머병의 병태생리 연구
본 연구실은 노인정신의학 분야에서 알츠하이머병을 비롯한 노인성 치매의 병태생리적 기전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뇌 내 축적이 인지기능 저하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그리고 다양한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이러한 병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대규모 코호트(KBASE 등)를 활용하여 임상 평가, 신경심리검사, 다중 모달 뇌영상(PET, MRI 등), 혈액 및 유전자 분석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베타-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의 뇌 내 축적과 인지기능 저하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어, 혈액 바이오마커, 유전자 다형성, 대사체, 장내 미생물 등 다양한 생체지표와의 연관성을 탐구합니다. 최근에는 혈중 타우 및 아밀로이드 농도를 이용한 조기 진단법 개발, QPLEX™ 등 다중 바이오마커 패널의 임상적 유용성 검증, 그리고 딥러닝 기반 뇌영상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 및 관리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중 요인 기반 치매 위험 예측 및 바이오마커 개발
연구실은 치매의 조기 진단과 위험 예측을 위한 다중 요인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혈액, 유전자, 대사체, 장내 미생물, 생활습관, 심혈관 위험인자 등 다양한 요인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치매의 발병 위험을 예측하고 병의 진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발굴합니다. 특히, 혈액 내 아밀로이드, 타우, 렙틴, 아디포넥틴, 비타민 D, 아연 등 다양한 생화학적 지표와 뇌영상 바이오마커(PET, MRI 등)의 상관관계를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딥러닝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뇌영상 자동 분석, 다중 오믹스 데이터 통합 분석, 그리고 대규모 코호트 자료를 바탕으로 한 예측 모델 개발이 연구의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QPLEX™ Alz plus assay와 같은 다중 바이오마커 패널을 이용한 혈액 기반 조기 선별법, FDG-PET 및 MRI를 활용한 자동화된 아밀로이드 축적 예측 모델, 그리고 유전자-환경 상호작용을 반영한 다중 위험지수(API) 개발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임상 현장에서의 치매 조기 진단, 환자 맞춤형 치료 및 예방 전략 수립, 대규모 인구집단의 선별검사 등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치매 극복을 위한 국가적·사회적 대응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1
Telomere length, in vivo Alzheimer`s disease pathologies and cognitive decline in older adults
Jung, Joon Hyung, 변민수, Yi, Dahyun, Ahn, Hyejin, Lee, Jun Ho, Lee, Jang-Seok, Lee, Hyun-Seob, 이준영, 김유경, 이윤상, Kang, Koung Mi, 손철호, 이동영, 묵인희, 최무림, 이유진, 한서경, 천기정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202506
2
Tau pathway-based gene analysis on PET identifies CLU and FYN in a Korean cohort
변민수, Yi Dahyun, Park Jong-Ho, Kim Jong-Won, Jung Gijung, Ahn Hyejin, 이준영, 이윤상, 김유경, Kang Koung Mi, 손철호, Liu Shiwei, Huang Yen-Ning, Saykin Andrew J., 이동영, Nho Kwangsik, KBASE Res Grp
ALZHEIMERS & DEMENTIA, 202502
3
Locus coeruleus tau is linked to successive cortical tau accumulation
Jung Joon Hyung, Jung Gijung, Ahn Hyejin, Chang Yoon Young, Keum Musung, 이준영, 이윤상, 김유경, 변민수, Yi Dahyun, Kang Koung Mi, 손철호, Risacher Shannon L., Saykin Andrew J., 이동영, KBASE Res Grp
ALZHEIMERS & DEMENTIA, 202502
1
데이터 기반 알츠하이머병 대뇌 아밀로이드 축적 패턴 및 기여요인 탐색 연구